이러한 추간판(디스크)은 스프링처럼 충격을 완화 시키고 분산과 흡수를 통해 척추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디스크는 전 후 좌우로 튼튼한 인대 조직에 둘러 싸여 있어서 좀처럼 밀려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단 나쁜 자세나 사고 등 외부적인 자극이 가해져 척추 뼈가 제자리를 잃고 비뚤어지면, 마치 고무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 한쪽이 밀려 커지는 것과 같이, 뼈 사이의 디스크가 눌려 찌그러지게 되고 벌어진 쪽으로 밀려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밀려나온 디스크는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디스크 질환, 또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며, 이중에서도 요추(허리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밀려나와 옆의 신경을 눌러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허리디스크라고 합니다.
인간의 80%는 평생 1번 이상 요통을 경험 합니다.
이는 네발로 생활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우리허리 구조가 인간이 진화되면서 두발로 걷게 되었으나 허리는 이에 맞게 진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흔히 허리가 아프면 `왜 다른 사람은 괜찮은 것 같은데 나만 아프지?`하면서 우울증에까지 빠지는 경우도 보게 되는데, 이것은 내가 진화 한 사람이기 때문에 겪는 고통이라 위로하면서 긍정적사고로 치료에 접근하는 것이 좋은 듯합니다.
통상적으로 디스크 진단은 진찰 X-RAY , C-T 등으로 하며 더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서는 MRI 촬영도 합니다. 수술할 정도가 아닌데도 MRI 등 고가검사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이는 환자본인 스스로가 잘 판단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검사는 참고 자료일 뿐이지 절대적 기준이 되지는 못합니다. 즉, 검사보다도 중요한 것은 현재 환자본인이 얼마나 고통을 받고 있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보존적 치료는 절대안정, 소염진통제 복용, 물리치료, 척추경막 외 주사 등이 있으며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방법으로도 효과가 없는 참기 어려운 통증이 있거나, 하지마비가 초래되어 호전되지 않거나, 병세가 계속 진행하는 경우, 대소변기능의 장애가 초래되는 경우 등입니다. 통상 디스크로 인하여 수술하는 경우는 10%미만입니다.
무엇보다도 바른 자세가 허리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어릴 때부터 바른 자세를 갖도록 부모님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