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부산대 또 어깃장
사회

부산대 또 어깃장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3/12/13 00:00 수정 2003.12.13 00:00
상환기간 연장, 이자율 인하 요구

부산대가 양산시 물금읍에 들어설 열림캠퍼스(제2캠퍼스)부지매입 잔금마련이 어렵다며 한국토지공사에 상환기간 연장과 이자율인하 등 계약조건변경을 공식 요청해 비난을 사고 있다.
 
토공에 따르면 최근 부산대가 학교 재정상 오는 2005년부터 매년 68억원 가량의 부지대금을 갚는 것은 불가능해 부지조성비를 토공이 전액 부담하고 잔금 상환기간 연장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왔다.
 
토공과 부산대는 당초 계약 당시 380억원 가운데 잔금 342억원을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키로 계약했으나 공문에는 11년 거치 10년 분할상환으로 오는 2013년부터 10년간 20회 상환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돼 있다.
 
이외 부지조성비 780억원에 대해서도 토공이 부산대에 직접 지원하거나 토공 부담으로 할 것과 상환 지연에 따른 이자율도 연 14.4%~18%대에서 국민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수준으로 적용해 줄 것을 담고 있다. 하지만 정부기관에 준하는 국립대학인 부산대학교가 캠퍼스이전 이라는 거대한 사업을 하면서 재정마련 계획을 하지 않고 무계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전임 박총장이 무리하게 제2캠퍼스이전을 결정했지만 사업수행은 신임 김총장이 하게되면서 재정문제 등 여러 가지 난제들을 회피하기 위해 비난을 감수하면서도 이같은 상환연장을 신청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양산신도시는 부산대 제2캠퍼스 이전과 맞물려 추진돼 상승효과가 있었지만 만약 부산대 이전이 백지화된다면 신도시 조성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쳐 사업자체가 3~4년 연장될 수도 있다는 분위기다.
 
이같은 부산대의 처사는 양산신도시 조성의 약점을 악용해 신임총장이 '백지화'운운하며 토공을 압박하고 있어 이는 특혜수준을 넘어 부산대 부지를 그저 삼키려는 비상식적인 행동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부산대의 이같은 행동은 대학 시설내에 영리시설을 짓지 못하게 함으로써 부산대가 추진중인 실버타운조성이 어렵게되자 이마저 허가 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대해 토공 관계자는 "국립인 부산대가 양산 신도시 조성에 부산대 열림캠퍼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을 악용해 이같은 파행을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하고 "이미 계약한 매매계약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일단 검토는 해 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