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부산통합 에드벌룬
사회

양산-부산통합 에드벌룬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3/12/20 00:00 수정 2003.12.20 00:00
총선 겨냥 이슈화 될 듯

내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양산시 국회의원 후보로 나설 출마 예상자들이 개인 사무실을 속속 개소하며서 총선열기를 띄우고 있는 가운데 최대 이슈로 양산-부산통합이 논의 될 것으로 보여 극심한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17일 한나라당 경선에 나설 조문환(44)씨가 새양산미래포럼 사무실을 정식 개소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이날 개소식에서 조 소장은 "양산은 경남도에서 재정자립도가 두 번째지만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은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다"면서 "양산 발전을 위해 부산과 통합을 내년 총선 이슈로 제기한다"고 밝혔다. 조 소장에 따르면 "양산 주민의 77%가 외지에서 유입된 인구로 대부분 부산과 울산에서 통근하는데 양산시의 교육 인프라가 부족해 상대적으로 교육여건이 좋은 부산으로 이전을 원하고 있다. 또 행정은 경남에 세무는 부산에 사법부는 울산에 병무청은 창원에 각각 나눠져 지역 민의 불편함이 이만저만 한 것이 아니다"면서 "행정편의주의에서 주민편의주의로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교육여건 외에도 제조업 인구의 60%가 부산에 주거를 두고 있으며 양산주민의 2/3는 부산에서 대형쇼핑몰과 백화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산과 생활문화가 일치하고 있다. 때문에 도시발전을 위해서 '광역화'를 해야하며 부산과의 통합은 양산의 교육, 교통, 문화 인프라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조 소장의 주장에 대해 일각에서는 벌써 총선 당선을 위해 양산을 부산에 팔아 넘기려 한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미 수 개월 전에도 전 시의원 이 모씨와 웅상 지역 인사, 부산 시민단체 등이 모여 부산편입논의를 하다가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는데 이번 조 소장의 주장은 내년 총선과 맞물리게 돼 정확한 근거나 논의 없이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소리가 높다.
 
실제로 조 소장이 밝힌 내용 가운데 부산통합의 반대에는 기득권층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반대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기득권의 범위나 실체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식으로 조 소장 개인이 의사로서 개인병원을 운영할 만큼 경제적인 지위와 명예가 있는 사람이면 자신조차도 기득권세력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행정구역이 개편된다는 것은 사실상 수많은 난관들이 따른다. 내년 7월부터 주민투표제가 실시된다고는 하지만 모든 상황들이 주민투표로만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경남도는 기장과 양산 땅 일부와 김해지역 일부를 부산에 넘겨주었고 울산도 떨어져 나간 상황이어서 양산시의 부산 편입은 경남도 자체의 존립마저 위태롭게 하는 것이어서 양산지역만을 놓고 논의될 상황이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어쨌든 조 소장의 양산, 부산통합 공식 제기는 내년 총선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지만 시민 자체에서 제기된 것이 아니라 총선을 앞둔 정치지망생이 논쟁거리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의미가 반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