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은 새해의 첫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묵은해를 정리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과 다짐으로 새 출발을 하는 첫날, 음력 정월 초하루가 곧 설날이다.
설' 또는 '설날'을 가리키는 한자어는 무척 많다. 정초(正初), 세수(歲首), 세시(歲時),세초(歲初),신정(新正), 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느꼈던 설날의 정취는 그 많은 한자어보다 '설'이란 토박이말에 더 깊게 배어있다.
'설'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그 하나로는 나이를 뜻하는 살(歲)의 고어 '술'에서 기원한다는 연세설(年歲設)이다. 우리말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우랄알타이어계에서 해가 바뀌는 연세를 '살(산스크리트語), 잘(퉁구스語), 질(몽고語)'이라 한다. 산스크리트 말에서의 '살'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해가 돋아나듯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뜻이 그 하나요,다른 하나는 시간적으로 이전과 이후가 달라진다는 구분이나 경계를 뜻하고 있다. 이 모두 정초와 직접 연관된다 하겠다. 중국의 어원사전인 '청문엽서'에 보면 연세를 나타내는 '살','잘'은 세(世),대(代),세(歲),수(壽)를 뜻하고,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節)의 어원이라고도 한다. 이렇듯 나이를 일컫는 '살'이 묵은해와 새해의 매듭(節)을 짓는 정초를 나타내는 '설'로 바뀌었음직하다.
다음으로는 '사리다'(愼ㆍ삼가다)는 뜻의 옛말 '섧다'에서 왔다는 설(說)이다. 각종 세시기들이 '설'을 신일(愼日)이라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 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뜻이라는 것이다. '섧다'는 말이 슬프다는 뜻이기도 하니 우리네 조상들은 '설'을 그저 기쁜 날로만 받아들이기보다는 한 해를 보내고 또 새로운 한해를 맞이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마음으로 이 날을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던 것이다. 그밖에도 '장이 선다'와 같이 쓰이는 '선다'의 '선'에서 왔다는 견해도 있다.
이런 여러 풀이들 가운데 '설'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견해는 아무래도 '설다(제대로 익지 않다)','낯설다','설어둠'(해가 진 뒤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은 어둑어둑한 때)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說)이 아닐까 싶다. 처음 가보는 곳은 낯선 곳이며,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사람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ㆍ문화적 시간의 충격이 강하여서 '설다'의 의미로,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을 테고, 이 '설은 날'이 '설날'로 굳어진 것이 아니겠느냐는 풀이다. 곧 묵은해로부터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에 있는 다소 익숙하지 못하고 낯 설은 단계라는 것이다.
한 해의 마지막 무렵,특히 설날의 전날인 섣달그믐을 흔히 '세밑,세모(歲暮)'라고 부른다. 아이들은 이날을 '까치설날'이라 불렀고 옛말로는 '작은 설'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동지를 가리키는 '작은 설'과 혼동하면 안 된다.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 한 것은 이 날이 일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해(태양)의 힘이 가장 약화된 날로써 그 다음 날부터 낮이 시나브로 길어지므로 아마도 이를 한해의 출발 기준으로 생각하여 '작은 설'로 삼았던 듯싶다.
예로부터 설날은 남녀노소, 빈부귀천의 구분 없이 평일과는 달리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행동거지를 조신하게 해야 하는 명절로 삼았다. 이는 묵은 한해는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는데 새해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려니 싶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에 양력이 채택되면서 양력 1월 1일을 신정이라 하고 이와 구별하여 '설날'을 구정으로 부르게 되면서 '설날'의 빛이 바래기 시작하더니,1910년 한국을 강점한 일제에 의해 '설날'은 본격적인 수난을 맞게 된다. 저들은 수천 년 동안 민간에서 지켜 내려와서 관습화된 우리 고유의 전통명절인 '설'을 말살하고자 갖은 방법을 동원하였다. 예를 들면 떡 방앗간을 섣달그믐 전 1주일 동안은 못 돌리게 하였고,설날 아침 새벽에 세배 다니는 사람이 특히 흰 옷을 입었을 때는 양력설에 세배 안 가고,또 무색옷을 안 입는다 해서 검은 물이 든 물총을 쏘아 흰 옷에 검은 물이 얼룩지게 하는 등 갖가지 박해를 가하였다. 해방 후에도 여전히 이중과세를 방지한다 하여 신정 쇠기를 강요하고 음력설 쇠는 것을 구박하였다. 그러다가 1985년엔 그때까지 '구정'으로 부르던 '설날'을 '민속의 날'로 고치면서 공휴일로 정했다. 그 뒤 1989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설'이라는 이름을 되찾게 되는데 이때부터 '설날'을 앞뒤로 사흘간 연휴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