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설 특집] 세시 풍습
사회

[설 특집] 세시 풍습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4/01/17 00:00 수정 2004.01.17 00:00

 [복조리]
 요즘 젊은이나 어린이들 중에는 조리가 무엇인지 모르는 이들도 있겠으나, 조리는 가는 대오리나 싸리 따위로 결어서 조그만 삼태기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쌀이나 보리 등 곡식을 물에 일어 돌을 걸어 내는 부엌용구이다. 조리질을 하면 돌들은 물속에 가라앉아 있고 많은 곡식들이 물 속에서 부풀어 올라 이 곡식들을 건져내면 돌을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설날 이른 아침에 사서 벽에 걸어 놓는 조리가 곧 복조리다. 조리를 일어 그해의 복을 취한다고 하여 '복 들어오는 조리'라는 뜻에서 복조리라 부른 것이다.

 설날에 장만한 복조리는 1년 내내 쓰게 되지만 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 한 귀퉁이에 그대로 걸어두기도 한다. 이는 갈퀴로 복을 끌어들여 복조리 속에 담는다는 뜻이다. 복조리를 걸어 둘 때는 그 안에 동전을 넣어 두기도 하는데 그것은 재물이 모인다고 믿는데서 기인한 것이다.

 조리에 복이라는 의미가 첨가 된 것은 곡식이 부풀어 오르듯이 복도 그처럼 부풀어 오르라는 종교적 심성이 내제되어 있는데서 비롯된다. 곡식이 곧 복을 상징하고 있다. 식복과 재복을 기원하기 위한 주술적인 행위로서 정초에 복조리를 사서 집안에 걸어두게 되었다.

 
 [청참(聽讖)]
 예로부터 한국의 민간에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 밖으로 나가 거리를 무작정 돌아다니다가 사람의 소리든 짐승의 소리든 처음 들리는 소리로 그해 한해의 신수를 점치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것을 '청참'이라고 한다. 이날 보통 까치소리를 들으면 그해에는 풍년이 들고 행운이 오며, 참새소리나 까마귀소리를 들으면 흉년이 들거나 불행이 올 조짐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굳이 정월 초하룻날이 아니라도 이른 아침에 까치소리를 들으면 반가운 손님이 오거나 좋은 일이 있을 징조로 여겼고, 까마귀가 울면 나쁜 일이 있을 것이라고 믿어 왔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서는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날짐승이건 길짐승이건 동물의 소리를 들으면 길조라고 여기는 곳도 있다.


 [수세(守歲)]
 섣달 그믐날은 여러 가지 설맞이 준비를 하느라고 밤늦게까지 불을 밝히고 일했다. 잠이 많은 아이들은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곧잘 잠들어 버리곤 하였다. 그러면 어른들은 잠든 아이들의 눈썹에 떡가루를 발라 주어 눈썹이 세었다고 놀려 주었다. 예로부터 섣달 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한 것은 설맞이 준비가 바쁘니 밤에 잠자지 말고 일해야 한다는 데서 생긴 말이었다. 섣달 그믐날 자지 않고 새우는 것을 설을 지킨다는 뜻에서 '수세(守歲)한다'고 말하였다.
 

 [원일소발(元日燒髮)]
 음력 정월 초하루에 머리카락을 태우는 풍습을 일컫는 말로 머리카락사름이라고도 한다. 한 해 동안 머리를 빗을 때에 빠지는 머리카락을 버리지 않고 모아 두었다가 설날 저녁에 불에 태운다. 충청도 지방과 전주 지방에서는 섣달 그믐날 밤에 태웠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