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5일 충북 음성군 삼성면에서 처음으로 조류독감이 확인된 이후 양산은 지난 10일 하북면 삼감리 삼감농장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했다.
13일 농림부가 양산시 하북면 이강환 씨의 양계농장에 대한 집단폐사 원인을 고병원성 조류독감으로 판명하자 방역당국과 양산지역 양계농장은 큰 충격에 빠져 있는 가운데 장인태 경남도지사권한대행이 10일에 이어 14일에도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신희범 양산시장권한대행은 현장에 상주하다시피 하는 등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
양계농가와 양산시는 지난해 연말 경주, 울주군 언양 등지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하자 양산시 하북면 삼감리 일대의 양계장 진입로 곳곳에 소독검문소를 설치하고 자체 방역을 강화하는 한편 관계공무원이 비상근무에 돌입하는 등 조류독감의 감염을 막기 위해 전력을 쏟아 왔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10일부터 삼감농장에서 1만8천여마리의 닭이 폐사. 조류독감으로 확진되자 도와 시는 관계 공무원과 군경 등 200여명과 굴삭기 4대 등을 동원해 삼감농장 주변 500m이내인 양계장 5개 농장의 10만여 마리의 닭을 살 처분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김재홍 조류질병과장과 건국대 송창성 교수등 5명으로 구성된 중앙역학조사반이 피해농장과 주변에서 감염경로 조사를 벌였지만 명확한 역학관계를 규명하지는 못한 가운데 삼감리 인근 좌삼, 상삼리 일대 양계사육 밀집지역의 양계농장에서는 외부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는 등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은 경남도와 양산시가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현재 집단폐사가 발생한 삼감리에서 반경3km내 위험지역내에 있는 41농가의 닭 85만여마리와 메추리 8만여마리,오리 6천여마리 등을 살처분 할 경우 양산지역 양계농가의 기반이 무너져 버린다는데 있다.
양산에는 조류독감 발생농가를 중심으로 반경(살처분 대상지역)이내에 양산전체 사육수(152만마리)의 60%가 넘는 94만여마리가 상북면 좌삼리, 상삼리일대의 양계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다.
만약 방역당국이 지형 여건상 산으로 막혀 있거나 재래식 사육방식이 아닌 최첨단 자동화 방식으로 사육하여 조류독감에 감염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좌삼리, 상삼리일대의 사육농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살처분 범위를 단순히 산술적 수치를 적용해 경계지역내의 양계농장을 일률적으로 적용한다면 양산지역의 양계기반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양계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는 도와 시는 조류독감에 감염될 위험이 적은 농가에 대해서는 살처분을 유보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살처분의 범위가 3km로 정해진다면 그 피해는 부산 경남지역 전체에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내 최대의 계란 생산지이자 전국 산란계의 8%를 생산하고 있는 양산은 하루 평균130만여개의 계란을 생산. 100만여개의 계란을 부산과 울산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은 경계지역인 3km~10km이내 지역 75농가 52만여 마리의 가금류와 사료?분뇨?계란수집차량 등의 이동을 30일간 제한하는 명령을 내렸으며 당분간 계란 반출도 중단하기로 해 양산지역에서 계란을 공급받는 부산과 울산지역은 계란 값의 폭등은 물론 품귀현상까지 빚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