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양계농가 고사위기
사회

양산 양계농가 고사위기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4/02/14 00:00 수정 2004.02.14 00:00
가금류 230여만마리 살처분
계란 생산도 전면 중단들어가

 조류독감으로 살처분이 한달째 계속되는 가운데 경남도와 양산시 등 축산당국은 10일 시장직무대행,양계농,방역 관계자등이 모인 가운데 관련기관 대책회의를 갖고 위험지역(3㎞이내)과 경계지역(10km이내) 내에 있는 가금류를 모두 살처분 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으로 양산에는 10km 경계지역 내 남은 닭 32만 마리, 메추리 24만 마리 등 56만 마리의 가금류가 추가 살처분돼 원동 등 일부지역 소규모 농가 가금류 20여만 마리만 남게 됐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오염원인 가금류를 모두 살처분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추가 확산을 막고 조류독감 사태를 종식시키는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양계농 관계자들도 "충북지역도 연이어 추가확산이 발생하고 있어 한마리라도 살리려고 시간을 끌기보다는 조기에 사태를 마무리해 양계농들이 다시 현업에 복귀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이어 폐기 처분한 계란에 대해서는 50%의 보상금을 우선 지급하고 살처분 농가의 사후관리와 회생을 위해 단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키로 했다.

 한편 현재까지 조류독감으로 양산지역내 추정손실액이 60억원에 이르는 가운데 추가 살처분이 끝나면 피해금액이 125억여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양계농가들이 무더기 고사위기에 몰려있다. 초기 살처분한 농가들도 늦어지는 당국의 보상금 지급으로 생계에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며 현실적인 보상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경계지역 살처분 결정으로 양산지역 가금류 250여만 마리중 230여만마리가 살처분돼 당분간 계란 생산도 전면 중단되고 양계농가의 정상복구도 6개월가량의 방역기를 거쳐 병아리 재입식 후 6개월 가량이 더 소요돼 최소 1년이상이 걸릴 전망이다.

 살처분을 면한 소규모 양계농가들도 최근 닭과 오리의 소비량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닭과 오리의 산지 가격도 조류독감 발생 이전보다 50%이상 떨어져 양산지역 전체 양계농가의 존립기반이 무너질 위기에 처해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