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앞두고 각 당이 공천 방법을 둘러싸고 크고 작은 내홍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열린우리당 양산시지구당이 국민참여선거인단에 의한 경선을 오는 28일 실시하기로 해 지역 유권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열린우리당이 선택한 경선 방식은 지역구 유권자 총수의 0.5%를 추출해 국민참여선거인단을 구성, 직접투표로 후보를 선정하는 방식.
국민참여선거인단은 표본추출전화여론조사를 통해 열린우리당 지지자, 또는 지지정당이 없는 사람을 선별한 후 경선 선거 참여를 권유하고 이를 수락하면 선거인단이 된다. 선거인 명부는 선거 5일전까지 확정돼 다음날 후보자들에게 공개되며 후보자는 이때부터 선거당일까지 4일 동안 공식적인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선거 4일전 선거공보가 선거인단에 발송되고 후보자는 호별 방문만 제외하고 자유롭게 선거운동을 펼칠 수 있다. 양산의 경우 국민참여선거인단은 총 유권자 15만여 0.5%에 해당하는 750여 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경선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경선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유권자가 얼마나 투표장으로 나오는가하는 문제이다. 김성호 현역 국회의원이 탈락해 화제가 된 강서구(을) 경선의 경우 선거인단은 1,000명이었으나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310명에 불과했고 선거인단 구성에도 문제가 많았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막대한 경선비용. 서울 강서구(을)의 경우, 경선방식을 두고 후보들이 평행선을 달리자 지구당선관위에서 개입, 어렵사리 경선방식을 결정했지만 후보들은 대부분 인건비로 쓰이는 경선비용 8,600만원을 각각 2,150만 원씩 분담해야 해 이를 부담스러워 했다고 한다. 양산 또한 외부기관에 의뢰할 표본추출전화여론조사 비용 등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후보가 두 명뿐이어서 개인이 분담할 비용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므로 이에 따른 후보자간 의견조율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총선기획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