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교단일기] 그래서 즐거운 학교생활입니다.
그리고..
사회

[교단일기] 그래서 즐거운 학교생활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좋은 교사입니다.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4/03/06 00:00 수정 2004.03.06 00:00

 아~ 아침부터 바쁩니다. 학교에 도착하는 그 순간부터 시작해서 학교 일과를 끝내는 시간까지 무슨 일이 그렇게 많은지. 이것은 교사가 되기 전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입니다. 제가 예상했던 학교생활은, 수업이 없는 쉬는 시간에는 교정이나 교무실에서 우아하게 차를 마시며 이야기도 나눌 수 있고, 4시 30분 퇴근 시간에는 집으로 갈 수 있는, 여유로움이 있는 생활이었습니다.
 
 그. 러. 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너무나도 바쁜 생활. 그것이 학교일과였습니다. 신규였을 때 저는 학교 안에서 걸어다니지 못하고 늘 뛰어다녔습니다. 점심시간은 건너뛰고 밥도 굶은 채 도서실에서 독서지도를 했습니다. 어떤 때는 일과 중에 1분도 쉬지 못하는 날이 있기도 했습니다. 그것도 모자라서 밤 10시가 넘어서야 학교 문을 나서는 날도 많았습니다.
 
 그. 런. 데.
 
 저의 예상을 깬 것은 바쁜 일과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바로 제 자신에 대한 예상이 깨어져 버린 것이었습니다. 저는 정말 학교업무를 정확하게 처리하고, 수업도 재미있게 잘 진행하리라 생각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교만도 그런 교만이 없는데 말입니다. 학기초에 평가계획을 너무 열성적으로 제출한 나머지 저는 2년 내내 수행평가 과제물 더미와 주관식 채점에 허덕이며 살았습니다. 어느 한 반에서만 가르쳐주지 않은 내용을 시험에 출제하여 곤혹을 치르기도 하고, 어느 학년은 비밀리에(!) 수행평가를 다시 치른 적도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도서 구입의 절차를 잘못하여 교장선생님께 무지하게 혼나기도 했고, 도서관 열쇠는 4번이나 바꾸었답니다.

 수업은 또 어떻고요? 중학교 3학년 남학생 반에서는 수업 중에 제가 하는 말의 50% 이상이 "조용히 하자", "조용히 해라", "조용히 할까" 등의 학생들의 안정을 촉구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심하게 떠드는 분위기 때문에 여러 선생님들께 아이들을 조용히 시키는 방법을 여쭈어 보고 실천도 하였으나(그 방법들을 들으시면 눈물 나실 겁니다. 너무 웃겨서...), 결과는 늘 같았습니다. 소란스러운 수업.

 이렇게 완전히 깨는 경험들을 겪으면서 처음에는 실의에 빠졌습니다. '아! 나는 그야말로 무능한 교사가 아닌가.' 그리고 다음 단계로 회의에 빠졌습니다. '내가 정말 교사를 할 자격이 있는 것인가?' 신규였을 때는 이런 생각들로 정말 심각했습니다. 첫 담임을 맡은 2번째 해 역시 그러했습니다.
 
 하. 지. 만.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생활이 바뀐 것은 전혀 아닙니다. 조금씩 학교 일에 적응해 가고 있지만 여전히 실수를 하고 있고, 수행평가의 버거움과 수업시간의 분위기 조정은 아직도 힘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다만,생활이 바닥까지 내려가면서 교사로서 제가 가지고 있는 속마음의 밑바닥 또한 알게 된 것이 이전과 달라진 점입니다. 저는 교사로서 아이들을 생각하고 아이들의 관점에서 좋은 교사가 되기를 노력하기보다는, 업무와 교과에 있어서 전문인으로서 완벽하다는 인정을 바라고 그 욕망을 채우기 위해 완벽한 교사가 되고자 했던 것입니다. 저는 저의 왜곡된 교사상을 알게 된 후 학교와 학생, 그리고 교사의 역할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학생의 입장에서 진정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바쁘게 생활합니다. 학교 일은 힘들고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것은 더욱 힘듭니다. 하지만 이 힘든 것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우리의 수고는 교사 자신의 욕망을 위한 수고가 되고 학교는 교육의 현장이 아니라 이기적인 자아실현의 도구가 되어버릴 것입니다.

 우리가 교사로서 누구를 위해 고생하는지 늘 기억한다면 힘든 학교 생활 중에도 아이들과 나누는 사랑으로 인해 즐겁고 행복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아이들에게 있어, 이 사회에 있어 좋은 교사가 될 것입니다.
 
 그. 래. 서.
 
 그래서 즐거운 학교생활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좋은 교사입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