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대통령탄핵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사회

대통령탄핵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4/03/20 00:00 수정 2004.03.20 00:00
양산 총선 예비주자들의 반응

 대통령탄핵이라는 우리 헌정사 초유의 사태를 맞아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우리 양산의 총선 예비주자들은 이번 사태에 대해 각각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보가 각 예비주자들에게 질의서를 보내 얻어 낸 답변내용을 정리해 본다.
 질의서의 질의문항은 △귀하가 만양 대통령탄핵 현장의 국회의원이었다면 어떤 태도를 취했겠는가? △찬성입장이라면 그 이유, 반대입장이라면 그 이유 △귀하의 개인적 소신과는 상관없이 헌재에서의 심판은 어떤 결론이 나리라고 보는가? △앞으로의 정국추이에 대한 귀하의 전망은? 이었다.



 먼저 현역 나오연 의원. 나 의원은 첫 번째 문항에 대해 "무기명 비밀 투표한 것에 대해 '가' '부'를 공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탄핵안 발의에는 참여하지 않았음"을 애써 강조했다. 그러나 찬성 이유는 뚜렷했다. "노무현 대통령이 선거법위반 사실, 노 대통령이 개입되었다고 추정되는 측근비리문제,경제파탄에 대해 국민에게 정중히 사과해 주기를 바랐다. 노 대통령의 정중한 사과가 있었더라면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헌법재판소에서는 정치적인 고려보다는 주로 법률적 측면에서 심판 할 것으로 보인다"며 "반드시 가결될 것이라는 확신은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향후 정국에 대해서는 "조용히 헌재의 결정을 기다려야 할 것이고 어떤 결정이 나든 헌재의 결정을 존중해야 할 것"이라며 "탄핵무효를 외치는 시위나 탄핵찬성을 위한 시위 어느 쪽도 지나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의 김양수 공천자는 "투표에 참여해 '가'에 투표했을 것"이라는 소신있는 답변을 했다. 찬성입장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진솔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으로 국민의 마음을 쓰다듬었다면 탄핵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며 "대통령은 국민적인 사과를 외면한 채 일방적인 변명으로 일관하며 재신임과 총선연계를 제시해 국민과 의회를 기만했다"고 이번 사태의 책임을 노 대통령에게로 돌렸다. 따라서 "헌재의 심판도 당연히 가결될 것"으로 보았다. 앞으로의 정국추이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과 사회가 지금과 같은 상황은 평상심을 가지고 극복해 낼 수 있는 정치, 경제, 사회적 성숙함을 충분히 갖추고 있고, 고건 대행이 지금과 같은 상황을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운영해 나갈 풍부한 경륜과 갖추고 있다"며 "헌재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판결을 내리도록 조용히 지켜보자"고 주문했다.



탄핵 찬성 "진솔한 사과,재발 방지 약속 없었다."
탄핵 반대 "자격없는 의원들의 의회 쿠데타"




 새천년민주당의 전덕용 공천자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찬성과 반대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정국추이에 대한 진단은 "만민이 편하게 사는 정국안정이 필요하므로 반드시 안정된다"는 전망을 했다.

 열링우리당의 송인배 공천자는 "물론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탄핵을 통과시킨 국회의원들은 대통령 탄핵사유에 대해 도덕적, 정치적 자격조차 깆추지 못한 상태에서 국민의 70% 이상이 반대하는 탄핵안을 통과시켰다"며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을 탄핵한 것은 국민의 피와 땀으로 이룬 대통령직선제를 부정하는 민주주의의 퇴행"이라고 강하게 성토했다. 그는 또 이번 사태를 "민주세력에 대한 반민주세력의 테러"라고 규정했다. 헌재의 심판도 "당연히 부결될 것"으로 보고 있는 그는 "대통령탄핵이라는 의회쿠데타는 다가 올 총선에 임하는 국민들의 또 다른 기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 봤다. 그러면서 "7, 80년대 군사독재시절과 마찬가지로 의회독재권력이 민주세력을 탄압하고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개헌론 및 총선연기를 추진할지도 모른다"고 경계와 우려를 표명했다.

 민주노동당의 김영진 공천자는 "투표에 참여해 '부'에 투표했을 것"이라며 "임기만료를 눈 앞에 둔 국회의원들이, 그것도 온갖 부정부패로 얼룩진 차떼기 비리집단이 과연 탄핵할 자격이 있느냐"고 힐책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역시 탄핵사태의 원인을 제공해 왔다"며 양쪽을 싸잡아 공격했다. 그는 또 "민주주의를 농락하고 민생을 파탄으로 몰아가는 수구보수부패 정치세력들에게 국정을 맡긴다는 것은 우리 국민을 죽음으로 내모는 일"이라며 "낡은 보수정치를 심판하고 새로운 진보정치를 실현시켜 나가는 것은 시대적 과제"라고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그는 헌재의 심판에 대해 "가결될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녹색사민당의 이성경 공천자는 당론과는 달리 "탄핵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개인적 소신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국가적 운명이 달린 일이라면 당론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헌재의 심판도 "부결될 것"으로 보았다.

 무소속 김동주 전 의원은 "정국을 파국으로 몰아가고 국정을 혼란에 빠트릴 수 있음에도 탄핵안을 가결시킨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신중치 못한 처신에 유감"이라며 "국민을 제쳐둔 채 당리당략만 좇는 이들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비록 수적 열세라고는 하지만 열린우리당도 여당으로서 책임을 다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또 "여ㆍ야가 벼랑 끝에서 대치한 지금이야 말로 정치력이 필요한 때"라며 "정치권은 당리당략을 떠나 진정으로 나라와 국민을 염려하는 마음으로 꼬인 정국을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무소속 출마 예정자인 김정희 씨는 답변을 유보한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총선기획팀>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