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문화초대석] "붓을 잡으면 절로 신명이 나는 것 같아요"..
사회

[문화초대석] "붓을 잡으면 절로 신명이 나는 것 같아요"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4/07/30 00:00 수정 2004.07.30 00:00
서예가 매요 김정보(梅曜 金貞甫)의 양산살이

 매요 김정보(梅曜 金貞甫).
 그는 글을 안 쓰면 몸이 아프다. 그러기에 그는 손에서 붓을 놓을 수 없다.
 
 “무당이 하기 싫어도 굿을 해야 하는 것과 같다고나 할까… 붓을 잡으면 절로 신명이 나는 것 같아요. 아마도 팔자인가 보죠?”
 
 이제 막 마흔 고개에 들어선 여류 서예가 김정보가 처음 붓을 잡은 것은 초등학교 때 습자시간이었다. 붓글씨 쓰는 것이 마냥 재미있고 즐거워 어느 날은 하교 후에 집에서 습자를 하게 되었다.
 
 “어, 잘 쓰네!” 딸아이가 쓰는 붓글씨를 훔쳐보시던 어머니가 무심코 던진 말이다.
 그것이 어린 '정보'가 어머니로부터 들은 첫 칭찬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딸이 학교에서 1등을 해 와도 모른 체 할 만큼 자식들 칭찬에 인색한 분이셨다.
 
 “어머니의 칭찬에 얼마나 가슴이 뛰었던지… '생전 칭찬을 모르시던 어머니가 칭찬을 하셨으니 내가 분명 잘 쓰기는 잘 쓰는가 보다' 싶어서 그 뒤로는 더욱 더 열심히 습자공부를 했지요.” 덕분에 정보는 중학교 때까지 교내에서 붓글씨를 제일 잘 쓰는 아이로 통했다.
 그러다가 고등학교를 가고 대학을 다니는 사이 한동안은 글씨를 쓰지 못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에도 입시가 모든 것의 우선이었으므로 한가로이 글씨만 쓰고 있기에는 주위의 사정이 만만치 않았다.
 대학(경성대)에서 그가 선택한 전공은 회화(繪畵)였다. 붓글씨 다음으로 잘 할 수 있는 것이 그림이었다니 아마도 그에게는 타고난 예술적 '끼'가 있었던가 보다.
 
 그러나 그는 대학공부를 끝내지 못했다. 80년대 초, 박정희 군사정권에 이어 전두환 군부가 새로운 공포정치를 펼치던 때여서 가슴이 뜨거운 그도 캠퍼스를 뛰쳐나와 민주화운동에 가세했다. 그러다가 그는 자신의 말대로 학교에서 '짤렸'다. 그러니 차선책으로 선택했던 회화도 그만 시들해질 수밖에…
 
 곧이어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렸지만 마음속에서는 자꾸만 서예에 대한 열정이 꿈틀거렸다. 한참 열병을 앓다 마침내 다시 붓을 잡은 것이 그의 나이 스무 아홉 살 때, 지금으로부터 11년 전이란다.
 당시 어머니가 서무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던 도서관에서 마침 '서예교실'을 개설한 참이라 얼른 수강신청을 했다.
 그로부터 9년 동안은 거의 집밖에도 나가지 않고 하루 6시간 이상씩 애오라지 글쓰기에만 정진했다니 매요 김정보의 서예에 대한 집착이 어떠했는지를 알만하다.
 그러는 사이 일곱 분의 스승을 사사하면서 필력을 다져온 그는 최근 2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세상이 돌아가는 것에 눈을 돌리기도 하고, 자신이 한 사람의 서예가로서 서예를 어떻게 사회운동과 접목시켜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저는 서예라는 예술 장르가 세계 어떤 예술보다도 뛰어난 장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서예가 일반대중과 너무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아서 마음이 언짢아요. 몇몇 서예가들만이 향유하는 서예는 그다지 의미가 없지요. 그래서 서예의 대중화가 적극 모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자면 서예인들이 대중을 서예의 세계로 끌어오려 하기 보다는 서예인들 스스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는데 그에 대한 적절한 방안이 떠오르지 않아 고민 중입니다.”
 
 지난 봄, 절친한 서예가가 신도시에서 운영하던 서실(매곡서당ㆍ신도시 대동아파트 3층)을 인수하면서 양산살이를 시작한 매요 김정보.
 그 전부터도 양산에 친구들이 많아 양산이 낯설지 않다는 그는 자신의 서실을 통해 배우고 가르치며 새로운 인연을 맺어가는 일이 마냥 즐겁다고.
 
 “어머니의 칭찬 한 마디가 제 가능성과 잠재력에 불을 지펴준 것이라고 믿고, 저도 가르치면서 교육에 있어서의 칭찬의 중요성을 늘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틀렸을 때 즉각 해답을 찾아주기 보다는 스스로 해결점을 찾도록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상당한 인내심이 요구되는 일이지요. 그러나 배우는 사람은 그런 과정을 거쳐야 확실한 배움에 이르게 됩니다. 처음에는 산만하기 이를 데 없던 아이들이 서예를 통해 차분한 성격으로 바뀌고 집중력과 사고력이 향상되는 등,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어 가는 것을 보는 것은 참으로 보람되고 행복한 일이지요.”
 
 다시 서예를 시작하고 3년 반 만에 그는 '전국서도민전'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당시 그를 가르쳤던 은사는 그 대회에서 '은상'을 받았다니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는 말은 그를 일러 만들어 졌던가 보다.
 그 뒤로 'SBS휘호대호' '청남휘호대회' '영남서예실기대회' '추사휘호대회' '부산미술대전' '제물포서예문인화대전' '월간서예 서예대전' 등 국내 각종 대회에서 금상과 특선, 입선을 여러 차례 수상하고 'SBS휘호대회' 초대작가를 비롯해 '청남휘호대회' '전국서도민전' '제물포서예문인화대전'의 초대작가로 활약하고 있는 매요 김정보에게는 아직 세상에 드러내놓지 않은 야심찬 계획이 하나 있다.
 
 “거리의 회색빛 담벼락을 서예로 장식하려고 합니다. 이를테면 서예를 통한 사회운동의 하나로고나 할까? 고담한 필체의 글씨와 기품 있는 사군자가 그려진 담벼락을 상상해 보십시오. 얼마나 멋지겠습니까?”
 더러 조악한 그림으로 벽장식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서예벽화는 아마도 매요 김정보가 첫 시도를 하는 셈이겠다. 함께 작업을 할 서예가들을 모아 벽화 팀을 구성하겠다는 그의 계획이 하루 빨리 성사되어 양산의 거리거리가 서예벽화로 멋스럽게 장식되는 날이 기다려진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