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학생들이 들고 일어났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이라 일컬어지는 이 학생운동은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에 저항하여 일어났던 대표적인 민족운동 가운데 하나였으며, 그 규모나 영향 그리고 그 의미에 있어서 3·1운동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날은 음력으로 10월 3일로 우리에게는 국조 단군이 개국하신 날, 즉 '개천절(開天節)'이었다.(당시에는 개천절을 음력으로 삼았다) 그런가 하면 일본으로서는 저네들의 왕인 메이지(明治)의 생일로 4대 국경일의 하나인 '메이지절'이기도 했다.
광주학생운동은 얼핏 보기에는 광주와 나주사이를 통학하던 한ㆍ일 학생간의 사소한 충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우리의 개천절에 일제의 신사참배를 강요당했던 광주고보생들의 비통한 심경에 가해졌던 일본 학생들의 무례한 도전이 우리 학생들의 민족감정에 불을 지름으로써 촉발된 일대 민족운동이었던 것이다.
일제는 이날이 일요일이었음에도 학생들을 소집하여 메이지절 경축식을 거행했다. 이에 참고 또 참았던 한국인 학생들의 분노가 폭발하였다. 식이 끝나자 일단의 학생들은 당시 일본인이 경영하던 광주일보사로 몰려갔다. 11월 1일에 발생한 한ㆍ일학생 사이의 충돌사건에 대해 한국인 학생들을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등 편파적으로 보도한 것을 규탄하고 응징하기 위해서였다. 학생들은 광주일보 본사를 습격하여 윤전기에 모래를 끼얹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광주라는 한 지역에 그치지 않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시위나 동맹휴학 등의 형태로 계속되어 전국적으로 194개 학교가 참가하였고 참가 학생 수는 54,000여 명으로 당시 전체 학생의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나라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자신들의 한 몸을 내던졌으니, 이로 인해 희생당한 학생 수는 퇴학 582명, 무기정학 2,330명, 검거 당한 사람이 1,462명이나 되는 엄청난 숫자였다.
또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파급되어 만주의 간도와 길림성, 중국의 상해, 북경, 그리고 일본에서의 집회와 만세시위로 번져나갔다.
이렇듯 정의감과 애국심이 강렬했던 당시의 학생들은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 분연히 떨쳐 일어나 민족적 차별을 철폐하고 국가와 민족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을 전개함으로써, 나중에 건국 이후에는 후배 청년들이 부정부패 타파와 민주화 쟁취를 위해 싸우게 하는 자랑스러운 본보기가 되었음을 우리 모두 잊지 말아야 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