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원회가 공무원 충원방식 다양화와 지역인재 공직임용 확대를 위해 내년부터 실시키로 한 '6급 인턴채용제(지역인재추천채용제)'에 대해 일선 공무원들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중앙인사위가 지난 28일 발표한 인턴채용제에 따르면 각 4년제 대학 재학생 중 학교 성적이 상위 3~5%이내이고 토익775점(토플560) 이상인 학생은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공직적격성평가(PSAT) 및 구술시험 등을 치른 후 3년 이내의 인턴과정 중 특별한 결격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6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중앙인사위는 이 제도가 ▲ 채용방식의 다양화 ▲ 지역인재 임용 확대 ▲ 전문인력 공직 유치 ▲ 지역균형발전 등의 효과와 더불어 별도의 수험준비 없이 학교 수업에 충실한 학생도 공무원이 될 수 있어 대학정상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내년에는 50명(행정직25,기술직25)규모로 인턴을 선발하고 이후 시행성과에 따라 채용규모를 확대해 나가겠다는 것이 중앙인사위의 기본 방침이다.
그러나 인턴채용제를 바라보는 일선 공무원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못해 분노까지 담겨 있다.
요즘같은 취업난 시대에 9급 공무원 시험 합격자 중 그만한 능력이 없는 사람은 거의 없고 그동안 수십년간 공직생활을 해온 사람들에 대해 '테러'에 가까운 '무시'라는 것.
이런 이유들로 전국공무원노조는 물론 양산시공무원노조 게시판에도 6급인턴제를 성토하는 글이 넘쳐나고 있다.
아이디 '개탄자'는 "잠도 못자며 길게는 10년 이상 준비해 들어온 자리(공무원)다. 9급부터 시작해 7급으로 오르기까지 몇십년을 고생한 분들에 대한 대가가 이거냐"며 일선 현장에서 오래근무해온 공무원들의 분노를 나타냈다.
자신을 8급 공무원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이해관계인을 일반직 고위공직자로 키우는 이른바 권력세습을 위한 전초작업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든다"고 말해 6급인턴제가 개인연줄로 인해 결정되는 부작용을 경계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집안 사정으로 대학진학보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의 기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제도"라며 6급인턴제가 학력차별을 부추기는 제도라고 비판했다. 이렇듯 6급 인턴제에 대한 일선 공무원들의 비판이 거세지자 전국공무원노조도 오는 15일로 예정된 파업투쟁을 통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인턴제의 부당성을 적극 홍보, 제도 도입을 저지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