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7만5천여평 규모로 추진하고 있는 새 추모공원(납골공원) 부지의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범위를 놓고 양산시와 부산시가 이견을 보이면서 8개월째 난항을 겪고 있다.
양측 이견의 핵심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와 관련, 부산시의 요청에 양산시가 거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는 점.
19일 부산시가 밝힌 바에 따르면 부산의 기존 납골시설은 영락공원과 사설 납골시설 4곳 등 총 5곳에 7만4천576위를 봉안할 수 있으나 올해 6월 말 현재 수용능력의 82%인 6만1천97위가 봉안돼 2006년말이면 포화상태가 될 전망이라고.
부산시는 이에 따라 553억여원을 투입, 오는 2006년 기장군 정관면 두명리 일대에 새 추모공원을 건립키로 하고 지난 3월 양산시에 조성부지 인근 전체 93.28㎢의 회동상수원보호구역 중 조성부지 내에 있는 양산시 동면 법기리 일대 0.26㎢를 우선 해제하자고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양산시는 지난 4월 현재의 상수원보호구역이 수도법이 정하는 규정보다 넓게 책정돼 있어 법정 한도인 회동수원지의 만수위선으로부터 4㎞구역(표준거리 가감)만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바깥 구역인 18㎢를 모두 해제시키자는 다른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사실상 부산시의 요청에 거부의사를 내비쳤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양산시는 지난 4월부터 이 문제를 놓고 부산ㆍ울산ㆍ경남 광역행정협의회 등에서 계속 협의를 가졌으나 양측의 입장을 좁히지 못했다.
또 부산시는 지난달부터 수차례 양산시에 공문을 보내 '회동상수원보호구역 관리대책 수립용역'에 공동으로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으나 최근까지 양산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부산시의 설명이다.
이를 두고 부산시는 "추모공원 건립이 절실한 만큼 최악의 경우 시 단독으로라도 용역을 실시해야 하는 급박한 입장”이어서 향후 양산시의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