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이 전원도시로 각광 받아 인근 부산ㆍ울산의 인구유입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르는 도로 기반시설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부산과 인접한 양산은 대규모 공장이 집중 유치됨에 따라 부산에서 출퇴근하는 인구가 관내 유동인구의 60%를 차지하지만 기존도로는 포화상태에 이른지 오래다.
현제 7호국도와 35호국도 경부고속도로 등은 생활권의 광역화로 인한 교통량 과대 증가로 만성적인 교통체증현상을 빚고 있다.
특히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3개 노선, 지방도 4개 노선, 시도 19개 노선이 얽혀 도로망을 구축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부산을 기점으로 각종 화물트럭이 서울 등을 가기 위해 거치는 '통과교통' 구실만 하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편의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양산상공회의소가 조사한 '양산지역 출ㆍ퇴근 지역 통행분포와 시간대' 분석에 따르면 부산에서 출ㆍ퇴근하는 유동인구가 전체의 60%, 양산지역 유동인구 37.8%, 기타 2.2%로 이미 부산의 위성도시로 동일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별로는 오전7시부터 8시 사이에 55%로 가장 많고 퇴근시간대는 오후6시에서 저녁7시사이가 38% 저녁7시에서 8시까지는37%로 밀집되어 있으나 밀집시간대의 차량분산을 위한 도로망 개선이 없어 수년째 교통대란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통행량 증가로 도로 및 주차장 등 교통관련시설이 차량 수용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고 각 구간마다 병목현상이 일어나 시민들의 피해는 물론 산업물동량 수송도 차질을 빚고 있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내로 유입된 인구 대부분도 교통난을 호소하며 이를 해결해 줄 것을 건의하고 있고 이를 이유로 관내 이사를 꺼리는 사람들이 있는 만큼 시측의 조속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