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밀집지역 코앞에 위치한 고압 송전탑을 이설 해야한다는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송전탑은 신도시 다방천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345kv에 높이만도 40m에 이르는 고압 송전탑.
송전탑 인근에 위치한 현대ㆍ롯데청어람 아파트 입주자들과 입주 예정자들을 위시한 주민들은 집단 주거지 코앞에 고압 송전탑을 설치한 것은 부적절하다며 즉각적인 이설조치에 들어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만약 이설이 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지중화 작업은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고압 송전탑에 관한 문제는 이미 지난해부터 불거져 나왔었다. 지난해 인근 지역 아파트 입주예정자들 사이에서 이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됐었고 일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수면에 잠겨 잠잠해졌던 것이 최근 한 방송뉴스에 소개됨으로써 또다시 불거지기 시작한 것이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고압송전탑과 인근 주거지와의 거리는 100m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토지공사(이하 토공)에서는 아파트와의 최소 거리 50m를 지켰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지만 코앞에 고압송전탑을 두고 살아야 하는 주민들의 입장은 다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날로 높아가면서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걱정하고 있다.
특히 문제시 되는 것은 아파트 등 주거지 뿐 아니라 학교가 송전탑에서 50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인근 아파트 입주자들과 입주예정자들은 자신의 자녀가 학교와 집에서 전자파를 맞으며 공부하고 생활해야 한다는 것에 극도의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한 주민은 "그동안 언론 등을 통해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등을 보아왔던 터라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며 "내 자식이 집에서는 물론 학교에서도 전자파에 둘러 쌓여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끔찍하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이와 같은 반응. 이후 송전탑 이설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현재 시 홈페이지에는 고압송전탑의 이설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민원이 줄을 잇고 있다. 한결같이 이설 내지 지중화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시로서는 속수무책이다.
택지개발에 관한 인ㆍ허가는 건교부 장관과 도지사의 권한이고 송전탑이 환경영향 평가를 거쳐 설치된 만큼 토공측에 재평가를 권고할 뿐 실질적인 강제력을 행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토공은 이미 시측에 여유부지 확보의 어려움과 2차민원이 발생할 수 있어 이설이 불가하고 지중화 또한 시공사례가 없고 보호 관리 차원에서도 적절치 않다는 이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시측은 이에 택지개발 인ㆍ허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남도에 주거지 및 학교와 가까워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는 공문을 보냈으나 결과는 회의적이다.
결국 애초 택지개발을 하면서 이런 제반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마구잡이식 개발에만 열을 올렸던 경남도와 토공측으로 인해 주민들만 그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이 문제는 인근 아파트의 입주자가 늘어날수록 더욱 불거질 것으로 보여 단골 민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