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상분동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민들의 반대여론이 높아져가는 것은 물론 각 단체에서도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지난 7일 웅상읍사무소 3층 회의실에서 열린 분동관련 대책회의에서 웅상읍 이장단협의회가 일괄사표를 제출했다. 총 51명의 회원 중 45명이 참석해 일괄사표를 제출함으로써 분동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전달한 것이다.사표를 제출한 이장단협의회 관계자는 향후 학부모회와 웅사모(웅상을 사랑하는 사람들) 등과 연계해 비대위를 구성, 구체적인 행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한다.그야말로 분동을 추진하고 있는 양산시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이다. 우선 일이 이렇게까지 온데는 시측의 잘못이 있었다.시는 분동을 추진하며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 시민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안을 시민 동의 없이 추진한 것이다. 행자부에 문의해 본 결과 처음 시가 웅상분동안을 냈을 때 시민여론 수렴을 하지 않아 시민여론을 수렴하라고 했다고 한다. 처음부터 여론수렴이 배제되어 있어 행자부가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다시 돌려보낸 것이다. 적극적으로 시민여론을 수렴해야 할 지자체가 그 일을 소홀히 해 중앙에서 걱정하며 돌려보낸 꼴이다. 또한 분동이 결정된 후의 시의 대응도 부적절했다. 분동에 대해 잘 모르고 있던 시민들과 잘못 알고 있던 시민들의 반대여론이 급등해도 시가 하는 소리는 "나를 따르라"뿐이었다. 처음부터 여론수렴이라는 민주적인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았던 것과 분동 결정 이후 보여준 시의 일방적 행정추진 방식이 지금과 같은 반대여론을 불러온 것이다. 이제 시는 힘들더라도 시민들을 설득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물론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더디게 갈지라도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지금까지와 같은 추진방식은 오히려 반대여론만 더욱 불러올 뿐이다. 시가 주장하는 것처럼 이제 웅상지역은 읍체제로 유지하기에는 한계에 달했다. 보다 효율적인 행정서비스와 지역발전을 위해서 분동이 필요하다는 시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 그러나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세금 부담이 커지고 교육환경이 악화되면서까지 분동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농어촌대입특례와 같은 경우 대학을 어디로 갔느냐에 따라 사회적 계급이 형성되는 우리나라로 볼 때 자녀를 둔 시민들의 반대가 클 수밖에 없다. 이제 시와 시민들 사이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의 대화의지와 농어촌특례 유예기간 연장 등의 구체적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시민들도 당장의 혜택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웅상지역 발전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시와 시민들이 조금씩 양보하고 대안을 찾아간다면 멀리 떨어져서 고개 돌리고 있는 둘 사이의 접점을 찾는 것이 그리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