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슨은 총 2,332건의 특허를 획득하고 발명왕의 명성을 누렸다.전구나 축음기 발명을 비롯하여 전보, 전화, 타이프라이터, 마이크로폰, 영화촬영용 카메라와 필름, 축전지, 전기철도, 합성고무, 채굴기계, X선 장치, 전송 시스템 등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적인 많은 것들을 발명했다.에디슨의 발명은 우연히 나온 것이 아니다. 수많은 실패와 실험의 결과인 것이다. 그의 발명은 반복된 실험의 결과였다. 백열전구의 필라멘트 재료 실험은 7,000여회, 건전지 실험은 1만여회 실시했다고 한다. 즉 필라멘트 재료실험은 7000여회 실패하고, 건전지 실험은 1만여회 실패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실패를 실패로 생각하지 않고 성공의 과정으로 여겼다. 전구를 발명하는 과정에서 9999번의 실험을 거듭했으나 잘되지 않았다. 또 다시 실험을 시도하자 친구가 "1만번째 실패를 되풀이 할 셈이냐"고 물었다. 에디슨은 친구에게 "나는 9999번 실패한 게 아니고, 다만 전구에 불이 켜지지 않는 9999번째 이유를 발견했을 뿐이네."라고 말했다.그는 실패하는 발명가에 대해 "나는 다른 발명가들의 약점을 확실하게 안다. 그들은 단지 두세 번의 실패로 발명을 포기해 버린다. 그러나 나는 내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절대로 주저앉지 않는다. 반드시 성공한다."고 했다.에디슨에게 '실패'는 '성공'의 가장 좋은 경험이었다. 우리의 속담에도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했다. 정주영 현대그룹의 회장은 본인의 자서전에서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고 했다.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있어서 시련과 실패 없는 사람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문제는 실패를 어떻게 정의하며 살아가는가 하는 것이다. 실패는 실패자가 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고, 실패는 아무 것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배웠다는 것을 의미한다.윌리엄 제임스는 "당신 스스로 실패자라고 부르기 전까지는 아무도 당신을 실패자라고 부르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