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시, 관내 문화재 관리 '허술'..
사회

시, 관내 문화재 관리 '허술'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03/17 00:00 수정 2005.03.17 00:00
업무 전담인원 단 두 명 -체계적인 관리 '난망' 효율적 관리 위해 '인원확충' 절실

최근 신기고분군에서 새로이 발견된 36기의 고분이 도굴과 오물 등으로 인해 파괴된 일을 두고 시의 문화재 보호정책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신기리 고분군은 인접한 북정리 고분군(사적 제93호)과 함께 삼국시대 양산의 대표적 유물로 불린다.

그런 고분군이 도굴 등으로 파손된 것에 대해 시민들의 비판은 거세다.  문화재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가 문화재 보호 및 관리를 허술히 한 탓에 그런 것 아니냐는 것이 비판의 요지.

그러나 모든 책임을 해당부서에 전가해서는 안 된다는 다른 목소리도 있다. 현재 관내 문화재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곳은 문화체육과.  그 문화체육과에서 실질적으로 문화재를 담당하는 인원은 단 두 명밖에 없는 실정을 두고 하는 말이다.

◈지정문화재 보유현황 경남도내에서 1등

양산의 지정문화재 보유현황은 경남도내 전체 시·군 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04 경상남도 통계연보]를 보면 양산의 지정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 30개
△지방지정문화재 69개
△문화재 자료 17개 등으로 총 116개. 

그 중에서 국가에서 보물로 지정한 문화재와 도에서 지정한 유형문화재도 도내 전체에서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현황에 비추어 볼 때 두 명의 문화재 관리 인원은 태부족이라는 말이다.
물론 인원이 적다고 해서 담당부서가 모든 책임을 면제받을 수는 없지만 구조적인 인력난을 야기한 시의 정책자체에 잘못된 점이 적잖다.

이렇듯 문화재를 독자적으로 관리할 행정체계가 미비하다보니 체계적인 문화재관리나 발굴, 그리고 사업계획 등은 꿈도 꾸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두고 과 수준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문화재관리계는 신설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문화체육과의 한 관계자는 "양산의 경우 모든 행정 분야에서 인력난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문화재를 전담할 계를 신설해야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며 "이를 시에 건의했고 시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기에 복병이 있다. 바로 '웅상분동'이다.
웅상분동 이후 이루어질 조직개편에서 문화재 전담 계를 신설해주길 건의했는데 농어촌 대입특례와 세수부담 등을 이유로 웅상분동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많아 현재로선 이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문화재를 지방세수 확보 차원으로 만들어야

현재 관내 문화재 중 다수는 통도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시에서는 보수 등에 필요한 금액 중 많게는 25%에서 적게는 15%가량을 부담하고 있지만, 통도사만 입장료 등의 수입을 올릴 뿐 시가 문화재로 얻는 수익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물론 문화재를 돈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지만 문화재에 예산만 투입할 것이 아니라 문화재를 세수 확보의 방안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따르고 있다.

이를 위해선 최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불교문화관광특구'를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불교문화관광특구는 지난해 영산대 컨벤션관광연구원이 통도사를 중심으로 한 관광루트개발을 추진하면서 관심을 끌었고 김양수 의원이 이를 위해 발 벗고 나서면서 시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만약 국가 차원에서 '불교문화관광특구'로 지정, 통도사를 중심으로 관광벨트를 구성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한다면 지방세수 차원에서도 도움이 되는 만큼 시나 국가 차원에서의 관내 문화재 보호의지도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시는 물론 지역 국회의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통도사가 한국의 3대 사찰 중의 하나라는 점과 통도사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의 특성화가 잘 되어 있는 장점 등으로 정부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