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지역민과 '소통'하는 것이 바른 지역언론"..
사회

"지역민과 '소통'하는 것이 바른 지역언론"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03/17 00:00 수정 2005.03.17 00:00
양산에 온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의 대모 '최민희 총장'

언론관련 시민단체 중 가장 대표적인 시민단체로 불리는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민언련). 유신시절,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해직된 기자들과 80년 언론의 암흑기 때 정권에 맞서다 해직된 기자들이 모여 만든 민주언론운동협의회가 민언련의 전신으로 벌써 20년이 넘게 언론관련 운동을 해오고 있다.

그런 민언련을 대표하는 인물이 바로 최민희 사무총장(46). 최민희 총장은 80년대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거대 제도권 언론이 전두환 정권에 협력하며 침묵하고 있을 때 정권의 언론통제 정책이었던 '보도지침'을 폭로해 권·언 유착의 실상을 국민들에게 알렸던 월간 '말'지의 1호기자 출신으로 민언련의 '대모'로 불린다.

그런 최민희 사무총장이 지난 11일 양산의 시민단체 '양산사랑참여시민모임'(양동이) 3기 출범식의 강의를 위해 양산을 찾았다.

강의 전 만난 최민의 총장은 겉으로 보기에는 그저 평범한 주부일 뿐이었다. 서슬 퍼렇던 전두환 정권시절부터 시작해 20여년간 언론개혁 운동을 해왔다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인상 좋은 아줌마(?)로 보였다.

그러나 언론관련 이야기만 나오면 역시 사람이 달라졌다. 본연의 직업(?)인 언론개혁운동 전도사의 얼굴로 돌아갔다.

우선 최민희 총장에게 민언련의 일선에서 떠났다 다시 돌아온 이유가 뭐냐고 물어보자 그는 '책임'때문이라고 한다.

지난 98년 일신상의 이유로 잠시 민언련을 떠나 자연인으로 살아갔지만 어려움에 처해있는 민언련을 외면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민언련의 전신인 민주언론운동협의회 때부터 활동해온 초기 멤버로서의 '책임'이기도 하다는 것이 최민희 총장의 말이다.

당시 민언련은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사무실에서도 쫓겨날 판이었다.

결국 일선에서 물러나 있던 최민희 총장이 다시 돌아와 아파트를 담보로 돈을 마련해 새로 사무실을 마련해 활동에 들어갔다.

결국 민언련의 위기가 자연인 최민희를 다시 언론개혁운동의 전도사로 불러들인 것이다.

다시 활동을 해오며 어렵지 않았던 날이 없었지만 지난 한해는 특히 최민희 총장과 민언련을 힘들게 했던 한해로 평가된다.

조선일보의 민언련 흔들기와 신문법개정을 둘러싼 내부 의견 충돌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무가지와 경품 등으로 언론시장을 파탄으로 내몰고 왜곡, 허위 보도 등으로 국민여론을 호도 시킨다는 이유로 민언련의 주요 비판대상이었던 조선일보의 민언련 흔들기는 최민희 총장도 이미 각오했던 부분.

그러나 신문법 개정을 둘러싸고 언론개혁세력의 내부 의견 충돌은 뜻밖의 일이었다.

최민희 총장은 "신문법 개정안에서 언론사 소유지분 분산이 빠졌지만 언론시장 정상화를 위한 법적인 근거는 생겼다"며 "소유지분의 분산 부분까지 법제화 하려고 했을 경우 신문법개정 자체가 물 건너 갈 판이었다"고 말했다.

결국 신문법 개정을 포기하면서까지 소유지분 분산을 주장할 것이냐, 언론시장 정상화를 위한 대책이라도 먼저 마련해 놓을 것이냐 사이에서 언론시장 정상화라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에 신문법 개정에 찬성했다는 것.

최민희 총장은 이 때문에 일부 언론개혁운동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민언련이 신문사 소유지분 분산을 포기했다는 비판을 들었지만 신문시장을 정상화시켜 나가며 장기적으로 소유지분 문제도 해결하면 된다는 의견을 밝혔다.

최민희 총장은 풀뿌리 지역언론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지역민과 '소통'하는 언론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 양산에 있는 시민들에게 서울 시민들이 서울의 지하철이 고장 나고 서울시내버스체계 개편으로 불편을 겪는다는 소식을 알려봤자 뭐하겠어요. 알아도 소용없구요"

지역민이 필요한 정보, 그런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민과 소통하는 지역언론이 되어야 한다는 소리.  지역민의 실생활과 관련이 없는 소식을 전해주는 중앙지와는 다른 지역민들이 자신의 지역에서 살아가며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올바른 지역언론이라는 것이다.

최근 어려운 지역언론사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했던 지역언론특별법이 '융자'로 변질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에 대해서는 "결국 그렇게 된다면 어려운 지역언론을 위해 무상으로 지원한다는 취지는 오간데 없이 사라지는 격이고 지역언론도 '융자'는 받지 않을 것"이라며 "처음의 특별법 제정 취지에 맞는 '지원'을 위한 법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최민희 총장은 "지역언론이 발전해야 아젠다를 독점하고 있는 중앙지의 폐해도 극복할 수 있고 신문시장도 바로 잡을 수 있다"며 "앞으로 바른 지역언론이 되어주길 바란다"는 당부의 말도 덧붙였다.

강의 시간이 다돼 인터뷰를 끝내고 강의장으로 향하는 최민희 총장, 그가 언론개혁을 위해 숱한 어려움과 싸워가며 살아왔던 삶이 바로 올바른 지역언론이 나아갈 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