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시민단체가 시정감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현재 우리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는 관변단체로 불리는 곳을 제외하면 양산여성회, 양동이(양산사랑참여시민연대) 등 모두 10여 개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단체들의 지난 한 해 시정감시 활동은 전무했다. 그러다보니 시의 예산 및 행정집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시정케 하는 일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행정의 견제 역할을 하는 시의원들이 있다고는 하지만 선출직 의원으로서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한계가 있고, 시의원들 또한 시민사회의 감시 대상이라는 점에서 이를 보완할 시민단체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일부에서는 관내 각 시민단체가 시민단체 본연의 임무라고 할 수 있는 시정감시는 소홀히 하고 각 단체의 사업이나 이슈화된 사안에 대한 행사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다른 지자체의 경우 지역시민단체가 지자체가 편성한 예산안을 분석해 타당성 없는 예산이나 과다 책정된 예산의 수정을 요구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 필요한 조례 제정을 요구하고 행정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문제가 발견되면 감사원에 관련 공무원의 징계를 요구하기도 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시민단체로서의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관내 시민단체에 대한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민사회가 성숙되지 않은 양산의 현실상 다른 지역의 시민단체와 같은 수준의 활동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는 항변도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그런 문제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각 시민단체의 여건상 자생력을 기르는 것만도 힘든 현실"이라며 어려움을 털어 놓았다. 그러나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니만큼 최근 관내 시민단체들의 역량 집중을 위해 결성된 ‘양산민중연대 건설을 위한 준비위’(가칭)를 통해 그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창립 3년째에 들어섰지만 아직까지 별 다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양동이(양산사랑시민모임)의 김창호 운영위원장도 "지금까지 내부 결속 강화 등에 치중해 시정감시 활동에 소홀했던 부분이 있다"며 "향후 시정전반에 대한 감시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