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시장 변동률]
평형별로는 20평형 이하가 0.49%, 26~30평형이 0.36%, 36~40평형이 2.08%, 46~50평형이 0.45%, 55평형 이하가 1.45%의 가격 상승세를 보여, 중대형 평형의 상승세가 무척이나 컸음을 알 수 있다. 0.71%의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보인 김해시 지역은 장유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평형별로는 △20평형이하 0.10% △26~30평형 0.30% △36~40평형 2.13%△46~50평형 △1.01% △55평형 이상 3.21% 등이다.금주 0.68%의 상승률로 도내에서 김해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인 창원시를 보면 재건축단지의 가격 상승이 두드려졌다. 평형별로는 △20평형 이하 0.87% △26~30평형 1.08% △36~40평형 4.35% △45~50평형 0.36% △55평형 이하 1.26%의 매매가 변동률을 나타냈다. 김해와 창원 모두 36~40평형과 55평형 이하의 중대형평형의 상승률이 높았다.그러나 최근 연일 상승세를 유지해오던 우리시의 경우 -0.13%로 매매가 변동률에서 하락으로 돌아섰다.
평형별로 보면 △21~25평형 -0.30% △31~35평형 -0.18% △41~45평형 -0.61% 등이 하락했고 다만 51~55평형이 0.86% 상승해 전체적인 하락폭을 조금이나마 떨어지게 했다. 가격 변동을 보인 주요 단지로는 남부동 쌍용스윗닷홈 29평형이 250만원, 중부동 대동황토방 39평형이 150만원, 웅상읍 태원 24평형이 400만원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전세시장 변동률]
도내 아파트 전세시장은 매매시장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인 0.07%에 그쳐 이전 보합세를 이어가는 추세다.
평형별로는 △20평형이하 0.15% △21~25평형 -0.02% △31~35평형 0.08% △41~45평형 0.10% △46~50평형 0.37% 등으로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중대형평형의 상승률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김해시 0.19%, 진주시 0.16%, 창원시 0.07%, 마산시 0.03% 등이고 우리시는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0.13%의 전세가 변동률을 기록했다. 부동산 114는 향후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편차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양산의 경우 입주물량의 영향으로 하향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