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군산, 동해, 구리, 운주, 울산, 보령, 구미, 대구 등 많은 지자체들은 의회 본회의 및 상임위 활동 동영상을 홈페이지에 공개해 인터넷을 통한 의회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제의 최대 화두가 '시민참여'라는 것을 감안해 시간적, 경제적 부담 없이 시민들이 손쉽게 의정활동을 알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처럼 홈페이지에 의정활동 등을 공개하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말부터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면서부터다.
인터넷 활용인구가 증가하자 각 일선 자치단체들은 시민들이 직접 찾지 않고도 시정 및 의정에 관련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기 시작했다.
시민들과 시민단체들도 시간 등의 문제로 직접 방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 만큼 시청 및 시의회 등에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개진했다. 의정활동 동영상 공개도 바로 그 연장선상으로서, 현재 많은 지자체들이 이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산시의회도 상임위 활동을 생중계하면서 홈페이지 접속 건수가 대폭 증가하는 등 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그러나 우리시의 경우에는 '내부결재시스템망'을 통해서만 의정활동 동영상 등을 볼 수 있다. '내부결제시스템망'은 한 마디로 공무원만이 접속 가능한 시스템. 이는 지난 2001년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요구에 의해 구축한 시스템으로 정작 의정활동을 감시해야 할 시민들은 배제된 셈이라 비판을 받고 있다.
한 공무원은 "실제 필요한 것은 인터넷을 통한 시민감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 즉 시민들이 의정활동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만이 볼 수 있게 구축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문제는 바로 이후 추가비용이 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 및 시민단체들의 참여 욕구 증가 등을 이유로 각 일선 자치단체들은 홈페이지 등에 동영상을 공개하는 추세.
우리시도 그에 뒤따라 시민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게 홈페이지 등에 새로운 동영상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예산이 추가로 소요되는 셈이라, 그에 대한 비판은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