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명곡 음지마을은 쓰레기 마을?..
사회

명곡 음지마을은 쓰레기 마을?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05/31 00:00 수정 2005.05.31 00:00
'버려진 고물더미ㆍ방치된 개' 시는 무관심 '이대로 좋은가'

 버려진 쓰레기 고물더미와 마을을 배회하는 위험한 개들로 명곡리 음지마을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이곳은 원래 개사육장으로 사용되어졌던 곳이나, 지금은 문을 닫은 채 하염없이 방치되고 있는 상태. 명곡 음지마을은 문을 닫은 개사육장으로 인해 거대한 쓰레기마을을 형성하고 있으며, 위험천만한 개들이 하염없이 마을을 누비며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개사육장은 이 동네 토박이인 박아무개 씨의 소유로 박씨는 지금은 이 마을에 거주하지도 않는 묘한 인물이다. 가끔 정체를 알 수 없는 거대한 건물 현장 쓰레기더미들을 차로 잔뜩 실어와 마을에 투기하고 사라져 그 행적을 도무지 알 수 없다는 마을주민들의 불만 섞인 원성만이 들려올 뿐이다.
 "어디서 가지고 오는지 커다란 고물들을 가져 와서 안 그래도 좁은 마을 내에 쌓아두니 혹시나 어린아이들이 와서 놀다 다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어떤 때는 그 쓰레기들을 소각할 때도 있어 하루 종일 타는 냄새가 진동을 합니다. 소문에는 어디 건물 철거 현장에서 돈을 받고 쓰레기를 가져온다고 하더군요. 돈을 받고 가져와서 자신이 살지도 않는 곳에 방치를 하다니 이렇게 기가 막힌 일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뿐만 아니라 개사육장을 하다가 남은 개를 묶어 두지도 않은 채로 그냥 풀어놔서 마을사람들은 물론 외부인들도 깜짝 놀라 도망갔던 적이 한 두 번이 아닙니다." 한 주민이 잔뜩 불만 섞인 푸념을 늘어놓는다.
 아닌 게 아니라 쓰레기더미로 사이로 네 댓 마리의 개들이 돌아다니고 있어 불안하기 그지없었다. 
 개사육장을 방치한 주인에게 건의를 해보았냐는 질문에 또 다른 한 주민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말하다마다요. 원래 마을에 잘 나타나지도 않아서 만나기도 쉽지 않은데다 만날 때마다 처리해 달라고 말한 게 수 십 번이 넘습니다. 그래도 콧방귀도 안 뀌더군요. 양산에서 오랜 토박이라 시에 무슨 연줄이 있다는 소문도 들립디다만…"
 지저분해진 마을환경과 방치된 개들에 놀란 주민들이 몇 차례나 시에 민원도 내어 봤지만 소용이 없었단다.
 "시에서 몇 번 다녀가기는 했지만, 형식적으로 다녀갔을 뿐 시정된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 주민들의 한결같은 대답이었다. 마을주민들은 시에서 다녀간 이후에 시정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시마저 주민들의 요구를 묵살해 시에 대한 신뢰성마저 잃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박씨의 행동도 괘씸하지만, 몇 번이나 다녀간 시에서는 도대체 뭘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주민들의 요구를 이렇게 묵살해도 되는 겁니까. 박씨와 시 사이에 뭔가 연줄이 있다는 그 소문이 사실이 아니라면 도대체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도 내려지지 않는 건 무엇으로 해석해야 합니까. 만약 눈에 잘 띄는 양산 시내에서 쓰레기가 이런 식으로 방치되었다면 벌써 시정되고도 남았을 겁니다. 우리 명곡 음지마을은 시에서 배제된 버림받은 마을인가요?"라며 노여움을 드러내는 주민도 있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곧 다가올 장마철에 큰 비라도 내리면 이 쓰레기들이 하천을 통해 떠내려 갈 수도 있어 이 문제는 비단 명곡 음지마을 주민만의 골칫거리가 아닐 듯하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