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수 의원은 27일 한국토지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 양산사업단(이하 '사업단') 관계자로부터 양산 신도시 홍수 대책을 청취했다.최근 <부산일보>는 '양산 신도시 수해 도시 되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경남 양산시 물금읍 일대 낙동강 하류지역에 양산 신도시가 완공되면 그 동안 이 일대에서 유수지 역할을 해오던 논밭과 임야가 완전히 사라지게 돼 집중호우 시 양산 신도시를 비롯해 저지대인 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와 한국복합화물물류센터 등의 극심한 수해가 우려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이와 관련 사업단은 "기존 저지대 농경지의 유수지 기능 상실에 따른 홍수 증가량을 전량 강제 펌핑하는 배수 계획을 수립하여 반영했다"며 "4개소의 유수지 및 배수 펌프장을 설치할 계획이며, 현재 2개 펌프장은 완공되어 가동 중이므로 농경지의 유수지 역할 상실에 따른 침수 우려는 없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또 사업단은 최근 개·보수한 낙동강 하류 양산천 제방 범람 가능성에 대해서도 "200년 빈도의 홍수위가 100년 빈도 홍수위보다 50cm 내지 70cm 내외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100년 빈도의 홍수위에 1.2미터의 제방 여유고를 확보한 상태이므로 하천 범람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