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인재의 다른 지역 유출을 막고, 지역 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가 준비해온 양산시 인재육성 장학재단 설립이 시작하기도 전에 주춤거리고 있다. 시는 연간 10억원씩 5년간 50억원을 목표로 장학재단 설립을 위한 계획을 통해 올해까지 재단 설립을 마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이미 교육청 및 교육 관련 기관, 단체 그리고 시민사회에 장학재단 설립의 필요성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황. 그러나 문제는 최초 장학재단 설립에 관해 오근섭 시장이 밝힌 순수 민간자본 출연으로 100억을 모으겠다는 발언이다. 시장 공약 사업으로 야심차게 추진하겠다는 오시장의 발언이 시 계획상 20억원의 시 출연금이 포함되어 있어 발언 번복에 따른 해명없이 사업을 추진한다는 문제제기가 생긴 것이다. 공인으로 발언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지고 필요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시의회의 입장이다. 시는 8월말까지 20명 내외의 장학재단 설립 발기인을 모집해 9월중에 발기인 총회를 개최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시의회의 문제제기로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기금의 효과적인 조성을 뒷받침할 조례 제정에서 시의회가 오시장에게 요구하고 있는 해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의회의 협조없이 조례 제정이 어려워 장학재단 설립 자체가 연기될 가능성도 있다. 장학재단 설립 취지 및 필요성에 대해 시의회 역시 공감하면서도 장학재단 설립에 대해 문제를 삼은 것은 결국 오시장의 일방적인 업무 처리에서 나온 불만이라는 평가이다. 오시장 스스로 순수 민간 자본을 통해 100억원을 모으겠다고 한 것이 시 출연금 20억원을 통한 50억원 기금 조성으로 계획이 변경되었음에도 아무런 해명과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것. 장학재단 설립 건 외에도 오시장과 의회의 불편한 관계는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번 장학재단 설립 사업에서 의회의 문제제기도 그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셈이다. 협력과 긴장 관계를 유지해야 할 집행부와 의회가 감정적인 대립으로 정작 시민들을 위한 정책 생산과 집행보다 소모적인 힘싸움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