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한전 뒤늦은 설명, 분노한 주민..
사회

한전 뒤늦은 설명, 분노한 주민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08/25 00:00 수정 2005.08.25 00:00
주민, 동의없는 노선 절대불가 입장 고수

한전이 밝힌 '765KV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사업'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쳤다.<본지 96호 보도>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다가 한전에서 일방적으로 노선을 확정해 통보한 것이 원인이다. 더욱이 한전에서 밝힌 노선에 따르면 송전선로가 자연마을 등 집단주거지역과 양계장, 종교시설, 목장, 과수원, 문화재 지역 등 총 69개 지역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지역 주민들이 계획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지난 05년 8월 17, 18일 한전은 상?하북과 원동 지역에 사업설명회를 가졌다. 하지만 설명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한전이 사업을 강행하기 위해 법적 절차를 가지기 위한 요식 행위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원동지역 일부 주민들은 아예 설명회 참석을 거부하기도 했다.

한전에서는 주민들이 우려하는 전자파 피해나 산림 파괴, 재산권 침해 등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거쳐 대비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하지만 주민들의 반발을 잠재우지는 못했다.

상북면 신전마을 주민들은 8월 22일 시와 한전에 송전선로 사업 계획 변경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송전선로 사업 지역에 해당하는 다른 마을 주민들도 탄원서 제출은 물론 한전이 사업을 강행할 경우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다.

신전마을 이광만 이장은 "시와 한전에 탄원서를 제출한 상태라 이후 진행과정을 보고 구체적인 대응방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전선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의 대응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아무리 공기업에서 일방적으로 진행해온 국가사업이라고 하지만 양산 지역의 현안 문제에 대한 조정력을 발휘하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 신전마을 주민들이 시에 탄원서를 제출하기 위해 시를 찾았지만 주무부서가 명확하지 않아 접수가 되지 않다 환경위생과로 접수되었다. 송전선로 사업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주무부서 자체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양산에는 신도시 1단계 지역 2.2Km 구간에만 8개의 송전탑이 들어서 있다. 도시 외관상 큰 문제일 뿐 아니라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 전자파에 대한 우려 등 각종 민원을 아직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신도시 지역 송전선로 지중화 여부에 대한 요구를 포함해 지역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한전은 8월 25일 동면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하지만 동면지역은 이미 송전탑 건설로 인해 잦은 민원이 발생하는 곳이라 주민들의 반발이 더욱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