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송전선로 사업 추진을 위한 한전의 주민설명회가 무산되어 향후 한전의 사업 추진 방향이 주목되고 있다. 이미 관내 사업 지구인 상북과 원동에서 열린 바 있는 주민설명회가 동면에서도 외면당했다. 25일 오후 4시 동면 개곡마을 당산나무 앞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주민설명회는 인근 법기마을 주민들은 참석조차 하지 않았고, 개곡마을 주민 역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주민설명회를 거부했다. 70여 세대 대다수 주민들이 노령층인 개곡마을은 잇단 국책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주민들의 피해가 누적된 곳으로 새로운 송전선로 사업에 대해 자포자기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기도. 현재 개곡마을은 345KV 송전선로 2개가 마을을 지나고 있으며, 경부고속철도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주민설명회가 무산되자 한전 관계자는 개곡마을 이장 및 개발위원을 개별적으로 찾아 사업 설명을 했으나 주민들의 반대 입장은 완강했다. 이미 2개의 송전선로 사업 추진 당시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등 절차를 거쳤으나 변한게 없다는 불신이 대화 자체를 힘들게 했다. 개곡마을 김종철 이장은 “우리 마을을 주변을 한 번 둘러보면 송전탑에다 고속철도 공사까지 국책사업이라고 다른 지역에 가져가지 않는 것들을 잔뜩 모아놨다”며 손사래를 쳤다. 한 주민은 “다른 동네 사람들이 우리 마을에는 사람이 안 사는 걸로 알고 있다”며 “우리 마을 사람들이 늙고 힘없다고 무시하는 것 아니냐”는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전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응에 대해 “실제 와서 보니 개곡마을은 주민들이 반대하기에 충분한 상황”이라며 “전체적인 노선 수정은 어렵지만 해당 주민들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국민들의 편의를 위해 소수의 마을 주민들이 일방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셈이다. 국책사업이 예산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진행된다고는 하지만 소수의 희생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부분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설명회 이후 시청과 한전측에 탄원서를 제출한 상북 신전마을 외 일부 마을에서도 추가적인 탄원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추가 송전선로 사업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또한 국책사업 추진 과정에서 제도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시의 대응 방안이 뚜렷하게 없다는 점에서 주민들이 하소연할 곳도 마땅치 않다. 한전의 송전선로 사업이 시와 협의 사항이 아닌 국책사업이라는 것이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