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산 해돋이 공원이 생태공원으로 계획을 수정해 추진될 전망이다. 시는 지난 3월 처음으로 천성산 정상에 대규모 해돋이 공원을 조성하여 관광객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지자 환경단체의 반발을 불렀다.<본지 5월 19일 84호 보도>'도롱뇽소송 양산시민행동'을 비롯한 여러 시민사회단체들은 "천성산은 개발보다는 자연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가운데 지난 5월 1차 추경예산에 편성한 10억원의 용역비용이 시의회 역시 시민 공감대 형성 부족을 이유로 전액 삭감한 바 있다. 시는 천성산 공원사업을 ‘친환경적 복원’에 중심을 두고 다시 추진한다는 태도이다. 문제가 된 정상 부근 개발을 자제하고, 공군부대 이전에 따른 부지 4만평을 적극 활용해 시민 휴식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군부대 이용으로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천성산 등산로를 친자연적인 생태학습장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을 내놓았다. 또한 시는 최근 화약창고 설치 허가 등과 같이 개인 사업자들의 난개발을 제도적으로 막을 길이 없어 공원설계용역을 조속히 실시해 도시계획을 확정지어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시의회는 지난 추경예산삭감 이유인 ‘시민 공감대 형성 부족’을 언급하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한 상황. 나동연 의원(삼성동)은 “시민환경단체 및 시민들이 천성산 개발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 먼저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예산 편성 전에 집행부의 여론 수렴 과정을 요구했다. 정병문 의원은 “군부대 활용은 시민을 위해서도 긍정적이지만 천성산 공원 조성 과정에서 정상까지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 개설은 전제가 아닌 원점에서 고민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시가 복원에 초점을 두고 계획을 수정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공원 사업의 주무부서가 도로과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업을 위해 정상까지 도로 개설을 하게 된다면 결국 자연생태계 복원이 아닌 파괴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로 외에도 환경, 녹지, 건축 등 다양한 분야가 얽혀 있는 대규모 사업이라는 점에서 각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총괄부서에서 사업을 담당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도롱뇽소송 양산시민행동 이헌수 집행위원장은 “시가 복원이라고 하지만 기존 개발주의적 발상에서 변한 것 같지 않다”며 “좀 더 구체적인 진행 경과를 보고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