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관내 양계농가 '조류독감' 공포..
사회

관내 양계농가 '조류독감' 공포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10/14 00:00 수정 2005.10.14 00:00
철새도래 시기 맞아 사전예방 '비상'

본격적인 철새 도래 시기를 맞아 관내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이미 지난 2003년 조류독감으로 180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되고, 100억원이 넘는 큰 피해를 입은 관내 양계농가는 다시 악몽이 되풀이되지 않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

농림부가 내년 2월말까지 '조류독감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조류독감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 축산농가를 중심으로 방역 및 예찰활동을 강화하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특히 전국 최대 산란계 사육지역인 양산은 지난 2003년 피해 이후 양계농가들이 가지는 조류독감에 대한 공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지경이다.

다시 한 번 조류독감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면 지난 조류독감 파동 이후 어렵사리 복구한 양계농가들이 완전 전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으로 팽팽한 긴장감이 돌고 있다.

이미 관계당국보다 한 발 앞서 방역대책을 세운 양계농가들은 철새와 야생동물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계사 곳곳을 그물망으로 덮어 악몽이 재현되지 않기를 바라는 비장한 각오를 보여주고 있다.

행여 다른 지역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해 조류독감에 대한 시민들의 경계심으로 소비량과 가격이 하락하는 일이 생길까봐 신경쓰이는 일이 하나 둘이 아니다.

시 농업기술센터 역시 조류독감을 대비해 일반인 및 차량 통행을 철저히 차단하고, 주 단위로 정기적인 점검에 나서고 있다.

한편 경남도는 12일부터 일주일간 양산지역 닭 150만 마리와 오리 7000마리, 메추리 10만 마리의 배설물에 대한 시료채취 작업을 진행 중이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아직 조류독감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지난 2003년 관내 양계농가들이 입은 막대한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축사, 사료창고, 분뇨처리장, 닭ㆍ오리 사육농가 등 중점 방역관리 대상에 대해 농장출입을 통제하고 사료차량, 약품운반차량, 분뇨차량 등에 대해 소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