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구 시가지 하수관거 사업 시행..
사회

구 시가지 하수관거 사업 시행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10/14 00:00 수정 2005.10.14 00:00
2006년부터 중부, 북정지역 총 88.8km 구간 사업

2006년부터 구 시가지인 중부동, 북정동 일대에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는 하수관거 공사가 실시된다.

사업 기간 3년을 예정으로 시행되는 중부처리구역(6권역), 북정처리구역(5권역)의 총연장 88.8km의 하수관거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해당 지역 상가 및 주민들의 불편에 따른 민원 발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예상되는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의회설명을 통해 예산 확보를 위한 사전 협조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사업 준비를 위해 사업 전담팀을 구성하고 장기적으로 하수관거 사업이 양산천의 수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주민 생활 환경과 보건위생을 개선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적극 홍보해 시민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시는 하수관거공사를 민간투자방식(BTL)으로 시행하기 위해 환경부에 908억원을 요청한 상태이다.

민간투자방식(Build Transfer Lease)이란 민간이 공공시설을 짓고 정부가 이를 임대해서 쓰는 것을 말한다.

이번 하수관거 사업의 경우 하수관거 시설을 민간업체가 자금을 투자해 건설한 후 소유권을 정부에 이전하고 일정 기간 동안 시설의 사용, 수익권을 얻게 되는 것으로 결국 민간이 시설을 정부에 임대하고 임대료를 받아 시설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셈이다.

시 관계자는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되는 하수관거 정비사업은 민간투자방식(BTL)으로 추진 하는 것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시설의 조기 확충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므로, 사업추진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나, 사전준비와 주민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원활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에서 진행되는 각종 사업에서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하지 못하고 민원 발생으로 인해 사업 자체가 시행되지 못하는 사례가 늘면서 시가 철저한 사전 준비 작업을 통해 행정력을 낭비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수관거 사업이 장기적으로 시민에게 필요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구 시가지의 교통 및 도로 상황을 볼 때 시민 불편이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추진 과정상의 미숙함이 드러나는 것은 사업의 명분까지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업의 신중한 추진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