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교단일기] 우리 시대 교사가 선 자리..
사회

[교단일기] 우리 시대 교사가 선 자리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10/21 00:00 수정 2005.10.21 00:00

이 시대 교사가 선 자리를 한 마디로 말하라고 한다면, '가시방석'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렇게 말하면 거칠고 과격한 비유라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이 땅의 교사들 가운데  자신이 선 자리를 편안한 안락의자에 비유할 사람은 드물 것이다.

사람들이 말하는 62세까지 정년이 보장되는 철밥통을 끼고 적당히 시간만 때우며 봉급을 받는 안락한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아니란 얘기다.

세상은 지금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시대에 인간은 사회 변화를 요구하고, 사회는 인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가 선 자리는 이 둘 사이의 접점에 있다.
사회로부터 끊임없이 책임과 의무를 요구받는 교사들이 고통스럽다고 말하는 것은 게으름뱅이의 변명밖에 되지 않는 것 같다.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면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은 가장 구체적인 현장에 있는 교사들임은 분명하다. 그래서 교원을 평가하여 문제점을 찾아내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겠다거나 부적격 교사를 가려내겠다는 사회적 요구는 당연해 보인다.

최근 몇 년 동안 교육의 문제는 정말 심각하다는 것을 우리 모두는 알고 있다.
교육 붕괴라는 말을 언론이 쓴 것을 보면 분명하다.

제대로 검토해서 준비한 교육정책은 별로 보이지 않고, 선진국이 그러했으니 우리도 그러해야 한다고 어느 날 합의되지도 않은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공표를 하고, 거기다 문제가 생길 때마다 일부 잘못한 교사들의 일만을 부풀려 모든 교사가 다 그러하다는 식으로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대통령 공약 사항으로 교육재정을 제대로 확보한다고 했지만 잊혀진지 오래된 얘기다.
우리 시대 교사가 선 자리를 살펴 보면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리가 아니라, 과도한 노동의 현장이라는 생각이다.

한 명의 초등교사가 10개의 교과를 담당하기도 하고 주당 30시간 이상의 수업을 해야 하는 실정이라면 교육의 질은 너무도 뻔한 것 아닌가 말이다.

거기다 숙제검사와 생활지도까지 더해지면 그 노고에 입이 벌어져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중학교 교사들의 근무여건도 비슷하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수업시수가 적당한 곳은 고등학교다.
그렇다고 고등학교 교사들이 편한 것은 아니다.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철저히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복무해야 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교사들은 봉급을 더 달라고 요구하기보다 교육의 질을 위해서 근무여건을 개선시켜 줄 것을 요구한다. 표준수업 시수를 법제화하고, 초등학교의 교과전담제를 확대하여 실시하고, 교원의 수를 법정 정원대로 확보하기를 바란다는 것이 그것이다.

교사들의 요구를 사회가 선뜻 받아들이지 못한다 하더라도, 그 요구가 교사의 사회적 사명을 위한 것이라면 당당히 주장해야 한다.

우리 시대 교사가 선 자리는 바로 그것을 주장하는 자리라는 생각을 한다.
그것이 가시방석이라도 말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