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산의 교육문제가 지니고 있는 매듭을 풀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그동안 양산의 교육문제는 뾰족한 해결점은 찾지 못한 채 늘 논의만 무성했다. 국회의원선거나 시장선거 등 각종 선거에서도 교육문제는 항상 단골메뉴였다. 그런데도 해마다 관내 중학교 성적 상위권 학생들의 역외유출은 늘어만 가는 실정이었으니 ‘교육도시 양산’은 한낱 허울 좋은 구호일 뿐이었다. 지난 26일 김양수 국회의원이 주최한 <양산 교육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교육문제 해소를 위한 대토론회>도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온 문제제기의 연장선상에서 마련된 자리이기는 했지만, 이번에는 ‘교육도시 양산’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에 접근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김양수 의원은 발제를 통해 ‘글로벌 인재 양성 특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교육특구 지정’을 위해 시민 모두가 힘을 합쳐야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우리는 ‘교육특구 지정’이 교육수준 저하와 인재유출이라는 양산교육의 고질적 문제를 푸는 근본적 해결점은 될 수 없다하더라도 꼬인 매듭의 실마리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앞으로의 ‘교육특구 지정’ 추진과정을 예의주시하고자 한다. 이견조정과 갈등해소도 고려해야하지만 ‘교육특구 지정’이 이번에 처음 제기된 새로운 방안도 아닐 뿐더러 ‘교육특구 지정’이 양산의 교육문제를 치유하는 만병통치약이 될 수도 없는 일이어서 앞으로 양산교육이 지니고 있는 근본문제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분석과 대안을 찾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김 의원은 교육 문제 해소를 위한 세부대책으로 고등학교에 외국인 교원ㆍ강사 임용 배치, 자율학교 및 자립형 사립고 설립, 영어마을 건립, 교육여건개선 사업 전개, 장학금 지급 확대, 관광 영어교육 특별학교 지정 등의 방안을 제시했지만, 이런 계획들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각 교육주체들 사이에 이견과 갈등이 드러날 수 도 있다는 것을 미리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자립형 사립고교문제만 하더라도, 교육의 기회균등 이념을 구현하는 평준화를 전면적으로 포기하는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교육의 ‘복지’이념을 근본적으로 후퇴시키는 시도로 교육을 ‘시장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대두되기도 한다. 또 한쪽에는 ‘귀족학교’가 나타나고 다른 쪽에는 ‘빈민학교’를 양산시키는 계층대립을 격화시켜 교육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걱정을 하는 학부모들도 적잖다. 이번 특구 지정 제안으로 인해 다시 교육 문제가 공론화되는 것은 크게 반길 일이지만,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이들 사이의 의견충돌이나 계층간 갈등이 불거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특구 지정 추진’을 너무 성급하게 추진하려다 시민사회의 여론을 분열시키는 결과가 나와서는 곤란하겠다는 것이다. 양산 교육발전을 위해서는 여러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고, 이들 각기 다른 의견들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이 양산의 일꾼을 자처하는 사람들의 책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