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상동면을 가로지르는 대포천은 불과 7년 전만 해도 악취가 코를 찌르는 죽은 하천이었지만 주민들의 노력으로 1급수의 맑은 수질을 되찾아 유지하고 있다. 상동면 주민들이 대포천 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지난 97년 낙동강 등 4대강 특별법 제정이 추진되면서 상동면 등 김해지역 5개 읍·면 일대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될 계획이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처음 주민들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결사 반대를 외치며 반대위원회를 구성해 두 달여간 정부의 방침을 거부하는 투쟁을 벌였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재산권에 상당한 침해가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작정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을 반대한다고 해서 지정이 보류될 것이라는 희망이 보이질 않자 투쟁위원회를 ‘수질개선대책위원회’로 이름을 바꾸고 본격적인 수질개선 운동에 주민들이 앞장서게 된 것이다. 주민과 대포천 주변에 입주한 업체들은 3천만원의 기금을 갹출해 수질감시원을 고용하여 하천오염을 감시하는 한편, 가정마다 정화조를 설치하고 주부들은 세제 덜 쓰기 등의 생활운동을 실천했다.직접 하천바닥까지 닦아내는 노력의 결과 불과 6개월 만에 대포천은 1급수의 깨끗한 수질로 회복되었다. 그 결과 2002년 4월에는 환경부, 경남도, 김해시, 상동면수질개선대책위 등 4개 기관 및 단체가 '대포천 수질개선·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체결'을 맺는 성과를 남기기도.이른 바 ‘수질계약제’의 체결로 대포천의 수질이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1ppm 이하로 연평균 1급수를 유지하거나 낙동강 원수보다 수질이 나으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및 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서 제외되게 된 것이다. 하천의 질이 생활의 질을 좌우한 셈이다. 협약 체결 이후 대포천은 주민들이 직접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모범 사례로 환경부에서 책자를 발간하여 각 환경단체 및 학교, 지자체 등에 배포하는 등 조명을 받았다. 또한 2002년 제1회 강의 날 대회에서 대상을 받기도. 올해 3월에는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한 행사가 대포천에서 열려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축산농가 외에는 별다른 소득이 없던 작은 시골마을이 전국에 모범 사례로 각광을 받게 된 것이다. 처음 재산권 보호를 위해 시작한 수질 개선 노력이 이제 지역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내세울만한 큰 성과가 된 셈이다. 삼동면 주민 최근백(55)씨는 “주민들이 이제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느껴 다소 해이한 점도 있지만 우리 아이들에게 물려줄 것이 딱히 없는 상황에서 수질 개선 노력으로 인한 자부심은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했다. 양산천이 시민들에게 사랑받게 되는 원동력은 결국 아기를 돌보듯 양산천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이루어질 때 다시금 시민에게 돌아오는 것이라는 것이라는 말을 전하고 싶은 건지도 모른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