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간 상생을 통해 발전을 이룩하자”경부고속철도 울산역(가칭)을 ‘울산역(통도사)’으로 하자는 시민 단체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경부고속철 울산역(가칭)이름 울산역(통도사) 결정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진동)’ 가 지난해 역명으로 건의했던 울산양산역(통도사)에서 ‘양산’을 뺀 울산역(통도사)으로 수정해 다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것. 이에 따라 추진위는 대시민 홍보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기존에 주장했던 역명에서 양산을 뺀 이유에 대해 추진위는 “울산역(가칭) 명칭에 양산지명을 넣는 것은 지역이기주의로 비춰질 수 있고, 울산과의 감정싸움을 피하자는 차원에서 바꾸게 됐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지난 2003년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의 역명이 결정될 당시 역명을 둘러싸고 아산시의회 의원들이 삭발집회를 하고 천안시의회 의원들은 서명운동으로 맞받는 등 지역간의 감정싸움으로 비화됐었다. 따라서 ‘울산역(통도사)’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울산과의 감정싸움을 피하고 지역간 상생을 통해 상호 발전을 이루는 지름길이라는 판단에서 ‘울산역(통도사)’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추진위는 울산역(가칭)의 이름에 ‘통도사’를 포함해야 하는 이유로 현재 거론되고 있는 울산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와 언양읍 반곡·태기리 일대가 하북면 통도사와 인접해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또한 울산역(통도사)으로 역명을 정할 경우 역세권에서 가장 지명도가 큰 통도사권의 불교문화와 울산권의 산업기반이 합쳐져 두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특히 역사가 완공되는 2010년경 양산의 인구가 70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고속철을 이용하는 관광객들이 부산역을 경유하는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역명 변경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김진동 위원장은 “이미 고속철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이나 부산 지하철 ‘경성대·부경대역’이 있는 만큼 ‘울산역(통도사)’으로의 변경 건의는 결코 무리한 요구가 아니다”며 “큰 효과에 비해 비용이 들지 않는 만큼 시민 여론형성을 통한 분위기 조성과 함께 관계기관에 이러한 양산의 입장을 적극 알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