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당초 예산 편성 당시 최초 3천261억원 당초예산안에서 55억 7,900백여 만원이 삭감된 것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전체 예산 규모에서 3.68%에 달한다. 주요 삭감 내용을 살펴보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행정이 우려되는 시장의 권한을 대폭 축소한 것이 눈에 뛴다. 이른 바 ‘포괄사업비’로 불리는 소규모 주민편익사업비 20억원이 절반 삭감된 10억원으로 조정되었고, 시장의 업무추진비 역시 절반이 삭감된 6천5백만원으로 정해졌다. 시의회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가 5월말에 있어 시장 임기를 고려한 관행적인 조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시 승격 10주년이 되는 내년 3월을 겨냥해 준비해온 기념행사의 예산 4억9천8백만원 가운데 5천만원을 제외한 예산을 전액 삭감해 행사 진행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그 밖에도 주요 삭감 내용 중에 집행부와 시의회가 마찰을 빚어온 일부 사업에 대한 예산 삭감이 이루어져 정례회 시작부터 예산 심의 과정에서 시의회의 불편한 심기가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을 뒷받침하는 대목이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웅상분동과 관련된 예산이 전액 삭감되고, 시 청사 신축 관련 예산이 모두 삭감되었다. 시의회가 무용론을 제기해온 서울출장소 사무실 임차료 720만원도 삭감되었다. 또한 시장 공약사항으로 추진되어온 시립 장학재단 설립을 위한 예산 5억원이 삭감되어 장학재단 설립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시의회와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시간만 보내게 되었다. 시정 홍보를 위한 홍보비 등 항목이 전액 삭감되거나 대부분 조정된 것 또한 삭감된 예산이 시장의 치적 홍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의회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시의회의 당초 예산 삭감은 정례회가 시작하면서 예상되는 일이었다. 심의를 위해 출석한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예산심의인지 감사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살벌한 분위기였다는 말이 공공연히 흘러 나왔다. 특히 ‘뜨거운 감자’인 웅상 분동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예산심의와 상관없이 일부 의원들의 질책이 쏟아지기도. 시의회에서는 이번 삭감 조치가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이 의심스러운 부분과 시장 개인의 치적 홍보에 악용될 소지가 있는 예산, 계획수립과정에서 절차에 맞지 않는 사업에 대해 공정한 심사를 벌였다는 입장이다. 한 해 마지막까지 해묵은 갈등을 풀지 못한 채 반목을 일삼는 오시장과 시의회의 관계가 시정 전반에 걸쳐 불필요한 차질을 일으켜 결국 시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예산심의를 지켜본 공직사회 내부의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