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를 치러야 할 기초의원 선거구가 버스 안에서 획정되는 어이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23일 경남도의회(의장 진종삼) 기획행정위에서 3분 만에 기습 통과된 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분할하는 안이 28일 본회의 마지막 날 도의회 주차장에 세워놓은 버스 안에서 최종 가결되었다. 도의회에는 선거구 분할을 반대하는 민주노동당 및 열린우리당 경남도당 당원들과 시민단체들이 본회의를 저지하기 위해 모여 있었지만 버스 안에서 가결된 선거구 획정 조례에 경악했다. 도의회 선거구 획정을 저지하기 위해 도의회에서 항의집회 중이던 이순덕 민주노동당 양산시위원회 사무국장은 “절차부터 잘못된 조례안 통과는 원천무효”라며 “향후 과정을 보고 도지사의 조례 공표를 막는 방안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양산의 경우 이번 선거구 획정안 통과에 따라 가 선거구(웅상) 3인, 나 선거구(상·하북, 동면) 3인, 다 선거구(물금, 원동) 2인, 라 선거구(중앙, 강서, 삼성) 3인으로 조정되었다. 이미 경남 외에도 부산, 대구 등 지역에서 한나라당이 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나누는 조례안을 통과시켰거나, 시민단체들의 반발로 상정이 무산된 바 있다. 시민단체들은 선거구 분할을 한나라당 일색의 현 체제를 공고히 하려는 한나라당의 음모가 숨어 있으며,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한 취지를 무색케 하는 처사라고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민주노동당은 웅상, 동면에서 4인을 선출할 경우 첫 시의회 입성의 가능성이 높아 이번 선거구 분할을 ‘민노당 죽이기’로 규정하고 있다. 상·하북면과 동면을 한 선거구로 묶은 것에 대해 일반 시민들의 반응은 ‘어이없다’는 것이다. 상·하북면과 동면은 천성산 정상 부근에서 행정구역경계로 맞닿아 있을 뿐 전혀 연관성이 없다는 게 일반적인 시민들의 인식이다. 도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무리한 분할을 시도한 결과인 셈이다. 한편 도의회 기획행정위가 조정안을 통과시키기 전 시와 시의회에 의견청취를 한 것으로 알려져 한나라당이 대부분인 시와 시의회에 의혹의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한 시의원은 “도의원 선거구 안에서 동면 지역이 웅상과 선거구로 묶이면 동면지역의 대표성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무난한 선택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선거구 조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또 다른 대표성 문제가 남아 있다. 현재 읍면동 인구 상황을 보면 웅상 7만5천명, 동면 1만명, 상북 1만6천명, 하북 1만명 내외이다.
새롭게 3인 선거구로 조정된 나 선거구(상·하북, 동면)는 전체 3만6천명으로 가 선거구(웅상) 7만5천명, 라 선거구(중앙, 강서, 삼성) 7만2천명의 절반 수치이지만 다 선거구(물금, 원동) 3만명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데도 3인 선거구로 조정된 것. 또한 지금까지 선거구획정위 안을 무난한 선정으로 알고 활동해온 출마예정자들은 갑작스런 변경에 곤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동면 출신 출마예정자는 “웅상 지역에 터를 잡기 위해 그동안 노력한 것이 수포로 돌아갔다”며 선거구 획정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상·하북면 출신 출마예정자도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도의회가 조례안을 통과시켰지만 법적효력 여부를 놓고 치열한 벌리공방과 더불어 도지사의 조례안 공표 등 마지막 과정에서 또 한 차례 진통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