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갈피 못 잡는 푸드뱅크 사업..
사회

갈피 못 잡는 푸드뱅크 사업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5/12/30 00:00 수정 2005.12.30 00:00
적절한 선정기준 통한 사업 내실화

푸드뱅크를 통한 소외계층 돕기가 관내에서는 아직 정착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본지 113호, 2005년 12월 23일자 보도>

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푸드뱅크 사업을 살펴본 결과 관내 푸드뱅크 사업에 각 분기별 150만원씩 모두 600만원의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양산시자원봉사협의회가 사업을 위탁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시 예산은 차량유류비, 수리비, 부식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푸드뱅크 사업에 대한 협약체결 만기가 올해 말이지만 시는 현재 자원봉사협의회와 다시 협약을 맺는다는 방침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성과가 부족하지만 시작단계인만큼 내년 사업 성과를 지켜보겠다는 것.

하지만 문제는 사업협약과정에서 운영상황에 대한 실태파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기탁업체의 수와 배분 실태, 기탁식품의 취급 및 보관상태를 점검하여 사업자가 푸드뱅크를 운영하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평가가 바탕이 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단순비교만을 가지고는 사업성과를 총체적으로 판단키에 어려운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기초자치단체 푸드뱅크 사업은 시ㆍ군ㆍ구청장이 위탁사업자를 선정하며, 위탁사업자는 기본 사업수행능력을 확보한 자로 지역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푸드뱅크 관련지침은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푸드뱅크 사업자가 기탁품의 우선배분순위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와 기탁품 자체사용이 기탁량의 30%이상일 경우, 지역사회 내 재가복지서비스 대상자 개발, 푸드뱅크 운영관리 DB시스템 운용 등 사업수행능력이 현저히 결여되거나 취약한 경우 지정을 취소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위탁을 받은 사업자가 한 해의 운영을 어떻게 하고 실적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적절한 기준이 마련되고 평가를 바탕으로 협약이 이루어져야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기탁과 배분이 이루어진다는 지적이다.

한편 현재 올 한 해 전국 259개소 푸드뱅크의 실적은 353억원인 데 반해 경남지역 1개의 광역푸드뱅크와 20개의 기초푸드뱅크의 총 실적은 8억 1천 500만원으로 드러나 비단 관내 푸드뱅크의 문제가 아니라 경남지역 전반의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른바 수도권 지역과 지방의 차이가 푸드뱅크에서도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경남지역의 경우 기초 푸드뱅크 중 실적이 높은 곳은 거제시가 1억 5천만원, 진해시는 9천5백만원, 김해시는 6천 백만원의 실적을 올렸으며 반면 관내 푸드뱅크는 올 한해 7백만원의 실적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렇듯 현저히 낮은 실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푸드뱅크 운영자의 발로 뛰는 추진력, 기탁의 활성화를 위한 시민들의 의식변화 그리고 시의 예산이 지원되는 사업인 만큼 위탁사업에 대한 시의 관리가 삼위일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