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언양간 경부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한 후유증은 양산IC 접속 고가도로 공사중지가처분 신청 심리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 현재 울산지법의 판단에 따라 지난 해 제3의 기관인 전남대에서 교통영향평가를 마쳤지만 공사가처분신청 심리를 결론 내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각종 교통영향평가의 결과를 보면 실질적으로 시가 제시한 안이 타당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으나 공사가 완료된 시점에서 현 상태를 뒤집는 판결이 나올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혀 결국 전남대 용역결과에 나타난 신호체계 정비를 통한 안전사고 대비로 접속고가도로 문제가 정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경부고속도로 확장에 따른 관내 크고 작은 사업구간의 공사 진행이 지지부진해 주민들의 민원도 끊이질 않고 있다. 경부고속도로 확장에 따른 터널구간 도로 확포장 구간 23곳이 현재 작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공사가 당초 예정일인 경부고속도로 개통시기보다 늦어졌을 뿐 아니라 지난 해 말까지 완료키로 한 약속마저 해를 넘기고 말았다. 공사를 맡은 업체 관계자는 “넓은 사업구간에 사업완료일이 가까워지자 주민들의 민원이 봇물처럼 쏟아져 공사 진행이 어려움이 있었다”고 토로하며 “1월말 무렵에는 모든 사업구간에 대한 마무리 공사가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크고 작은 민원이 불거지는 가운데 경부고속도로 확장 개통을 통해 물류비용을 절감해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겠다는 사업의 목적은 성사시켰을지 모르지만 양산 시민의 불편을 볼모로 사업을 진행해 왔다는 비판을 면키는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