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열리는 정초, 한번쯤 <양산향토사료관>을 들러 시대를 앞서간 옛 사람들의 숨결을 맡아보는 것은 어떨까? [역사와 인물사관]이 곳은 양산의 지난 역사와 현재의 발전모습을 엿볼 수 있고, 오래 전 양산이 배출하여 한국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던 큰 인물들과 또 근·현대를 살다간 가까운 시대의 인물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특히 우리 고장 하북면 삼수리의 지명 유래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 삼장수(三將帥 이징석·이징옥·이징규), 신라의 충신 관설당 박제상 공, 신라의 삼국통일 대업을 이룬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인 김서현 장군, 고향의 봄을 작사한 아동문학가 이원수 선생 등의 발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자료가 마련되어 있다. [양산의 문화재관]과거 찬란한 양산의 역사를 잘 대변해 주는 유형문화재와 또 그 유형문화재와 함께 살다간 양산지역의 토착민들이 남긴 무형문화재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는 공간이다. 수려한 양산의 자연 풍경과 통도사 등의 역사적 유물을 담은 사진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유물관]양산지역에서 출토된 토기 및 과거 일반 서민들이 사용했던 각종 도자기를 비롯한 혼례, 제례, 장례용품 등이 짜임새 있게 전시되어 있다. 이들 전시된 용품을 통해서 옛 선인들의 제례의식과 또 그 의식을 통해서 형성된 정신문화를 엿볼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생활용품 전시실]조선시대 및 근대 서민들이 일상생활에 사용했던 생활용품과 그 서민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근대 생활모습이 담긴 사진과 농촌생활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농기구 등이 전시 되어 있는 공간이다. 특히 이제는 잊혀진 당시 농촌에서 사용하던 농기구들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오늘을 사는 청소년들과 젊은이들이 어렵지 않게 옛 삶의 흔적을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종합 영상실]향토사료관 전시공간에 펼쳐 놓을 수 없는 각종 무형문화재 관련 영상이나, 또는 유형문화재, 양산의 자연풍경을 담은 영상물을 상영하는 공간으로, 향토사료관을 찾는 관람객이 편안하게 영상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잘 꾸며져 있다.
[전시실 안내] 1. 양산의 역사와 인물사관
Yang San’s History And
The Life Of A Great Man Hall2. 양산의 문화재관
Yang San’s Cultural Assets 3. 유물관 / A Relic Hall 4. 생활용품전시실
Living Supplies Exhibition Room 5. 종합영상실
A Synthesis Reflection Room
[개 관 시 간] 평 일 : 오전 9시 30분~오후 4시
토요일 : 오전 9시 30분~낮 12시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