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안전이 여전히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올해 개교를 앞둔 신설학교 환경정비에 관련해 학교 주변 도로상에 학생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야 할 스쿨존 설치가 내년은 되어야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지 115호 2006년 1월 6일자 보도> 오는 3월 개교 예정인 북정초의 경우 스쿨존 설치를 임시교장이 시에 요청하였으나 시는 개교 전까지 시설물 설치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북정초는 현재 시가 사업을 진행 중인 다른 초등학교의 스쿨존 설치가 끝나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북정초와 같이 개교될 신양초는 토지공사 관할구역인 신도시 2단계 구역이라는 이유로 시는 토공에서 사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토공은 시와 스쿨존 설치 책임 여부를 놓고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시청 도로과 관계자는 "한 해 스쿨존 사업으로 책정되는 예산은 10억 가량 되는데 교통위반범칙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한 학교당 스쿨존설치물로 2억 가량이 소요되고 현재 6개학교의 스쿨존설치가 진행되고 있어 사실상 북정초의 스쿨존시설물이 올해 설치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입장을 전했다. 지금까지는 신설교에 스쿨존 설치요청이 뒤늦어 개교와 함께 설치되지 못했던 문제점이었다면 북정초의 경우는 예산이 뒷받침 되지 못해 스쿨존 설치가 힘들다는 것. 예산이 없어 설치하지 못한다면 예산확보를 위해 박차를 가해야 하는 것이 시가 고민해야 하는 숙제라는 결론이 나온다. 예산부족과 행정절차로 스쿨존 설치가 미루어지는 지금 이 순간에도 어린이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