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IC 이전 후 구양산IC의 재개통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다.<본지 117호 2006년 1월 20일자 보도>7일 구양산IC 재개통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제혁)는 오후 3시 구양산IC 앞에서 400여명의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시외버스터미널 앞까지 구양산IC 재개통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거리 시위를 벌인 것. 구양산IC 재개통 추진위원회는 북정상가연합회, 삼성동 주민단체, 상공회의소 회원사 등으로 구성되어 지난 해 11월 양산IC 조기 개통 당시 도공과 시가 약속한 구양산IC 부산방면 통행 실시에 대한 약속 이행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하지만 도공 측은 IC 이전 이후 교통량 분석 결과 교통 흐름에 큰 무리가 없다는 판단으로 구양산IC의 재개통을 외면한 것이 시민들이 거리로 나서게 된 배경이다. 이 날 궐기대회는 구양산IC에서 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두행진을 벌이며 시민들에게 재개통의 당위성을 알리는 홍보를 진행한 뒤 시외버스터미널 앞에 위치한 김양수 국회의원 후원회 사무실을 방문해 건교부와 도공의 책임있는 답변을 요구하는 문서를 전달했다. 이어 준비된 버스를 이용해 도공 양산지사를 찾은 시위대는 강호동 양산지사장을 면담해 주민들의 민원을 정확히 도공 본부에 전달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집회를 마쳤다. 추진위는 촉구문을 통해 “지난 11월 시와 건교부, 도공이 35호 국도 확·포장 공사기간까지 2년여간 구IC와 신설 IC를 병행운영키로 한 약속”을 지적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조속한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추진위는 8일 건교부 및 도공 항의방문 후 1주일 내에 책임있는 답변이 나오지 않을 경우 향후 이전 양산IC를 물리적으로 봉쇄하는 등의 극단적인 조치도 불사할 것이라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진위의 이러한 방침은 IC 이전 이후 눈에 띄게 침체된 인근 상가 지역의 생존권을 보호받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 구양산IC 재개통만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IC의 주목적이 상권 형성이 아니라 교통 흐름의 개선에 있다는 점에서 이미 양산IC 이전 계획이 수립되어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예기간을 두고 구양산IC가 재개통되더라도 상권 활성화를 위한 상인들의 노력과 시의 정책적인 배려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유예기간이 끝나는 시점에 다시금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