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절차의 다원화로 인해 일부 어린이놀이터가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드러났다. 어린이놀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로 놀이터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안전을 보호해야할 시의 행정이 '따로국밥식'으로 이뤄져 오히려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대표적인 사례가 강서동에 위치한 교동 어린이놀이터.시는 지난해 12월 아름다운 놀이터 가꾸기 사업을 추진, 1천5백여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가 관리하는 어린이놀이터 13개소 가운데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었던 9개 놀이터 중 8개소에 대한 보수와 1개소에 대한 철거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교동어린이 놀이터는 시설물의 심각한 파손에도 불구하고 점검 대상에서 제외된 것. 교동 어린이놀이터의 경우 몇 달째 부서진 시소와 농구골대, 족구대 등이 방치되어 있고 모래 대신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고무재질의 벽돌형 바닥재가 곳곳에서 파헤쳐진 채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민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는 색이 벗겨져 흉물스러운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놀이터 가장자리에는 부서진 시소 조각과 쓰레기가 한데 뒤엉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처럼 시급한 보수대책이 요구되는 교동 어린이놀이터가 점검 대상에서 제외된 것에 대해 "지난해 말 실시되었던 놀이터 가꾸기 사업의 경우 사회복지과가 주관했기 때문에 사회복지과가 관할하는 13개소에 대한 조치가 이뤄진 것이다"며 "교동 어린이놀이터의 경우 재난관리과에서 설치ㆍ관리를 하는 만큼 재난관리과에서 유지보수를 해야 된다"고 설명했다. 즉 놀이터의 설치부서, 목적, 위치 등에 따라 사회복지과, 산림공원과, 재난관리과, 각 읍ㆍ면ㆍ동 등으로 관리대상이 나눠져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어린이 놀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전담 부서별로 업무를 분산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분산조치가 오히려 놀이터의 합동점검이나 보수에서 어린이들의 안전이 도외시된 채 행정편의위주로 흘러 부서 간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결국 이러한 관리 구조는 어린이 놀이시설과 관련된 포괄적인 정보나 대책마련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장님 코끼리 만지기식'의 행정이 이뤄져 행정력의 낭비를 조장하게 되는 셈이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신도시의 개발 등으로 인해 도심공원과 놀이터의 수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도심공원과 놀이터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