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정보수집 및 로비 위해 필요 / 시의회, 성과없는 조직운영 불필요
지난해 6월부터 중앙부처 정보 교류 및 예산 확보차원에서 운영 중인 서울사무소가 파행적인 운영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서울사무소는 서울 경남사무소를 공동사용하면서 1명의 행정주사가 파견근무를 하고 있다. 서울사무소의 지난해 주요 업무 추진 실적은 주로 예산확보와 관련한 협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 사무소의 역할은 중앙부처의 정보를 취합하여 보고하거나, 예산과 관련해 중앙부처 관계자들과 협력하는 일이 중심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곧 바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정보교류 및 대외협력에 큰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시의회의 생각은 다르다. 현재 서울사무소가 뚜렷한 성과없이 예산을 낭비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이번 당초예산 편성에서도 시의회는 서울사무소 운영비로 책정한 사무실 임차료 720만원을 전액 삭감했다.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무용론을 펼치는 등 시의회는 서울사무소 운영에 회의를 표시하고 있는 상황. 한편 시는 올해 국ㆍ도비 확보 목표를 지난해 국ㆍ도비 등 지방교부세 1,640억원보다 10%로 증액한 1,804억원으로 잡고 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특별대책본부를 구성했다. 하지만 예산 확보를 위해 서울에 설치한 사무소가 뚜렷한 성과를 남기지 못하는 데 따른 시의회와의 공감대 부족 역시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서울사무소 운영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일반운영비로 서울사무실을 계속 운영하게 된다면 '특별대책본부'라는 처방이 또 다른 '서울사무실'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