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교육특구 지정 행정절차 돌입..
사회

교육특구 지정 행정절차 돌입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03 00:00 수정 2006.03.03 00:00
시 '양산과학인재양성교육특구' 공고/ 오는 24일 시민 공청회 개최 예정

시가 고질적인 양산의 교육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마련한 '양산과학인재양성교육특구' 지정을 위한 행정 절차에 들어갔다.

지난 23일 시는 시 공보를 통해 양산과학인재양성교육특구 지정신청에 따른 특구계획안, 공청회, 특화사업자 지정신청 등을 공고했다.  또한 오는 11일부터 24일까지 특구 계획 열람 및 의견 제출 기간 이후에 시민 공청회를 거쳐, 의회의 의견을 수렴한 뒤 재정경제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특구 지정 추진 배경에 대해 320만평의 신도시 조성 및 공업의 발달로 인구는 유입되고 있으나, 교육환경은 열악해 지역 주민들의 교육열을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로 양질의 교육을 원하는 상위권 학생들은 부산과 울산, 거창 등 시외지역으로 진학하는 등 인재 역외 유출 문제를 첫 손에 꼽고 있다.  특구 지정을 통해 낙후된 교육여건을 개선해 우수한 지역 인재를 배출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시가 추진하고 있는 '양산과학인재양성교육특구'는 과학영재교육원 설립 운영, 과학관 설립, 청소년 과학축제 및 과학캠프 운영, 경남외국어고등학교 자율학교 운영, 원어민 교원(강사) 배치 시민 영어교육 강화 등을 주 내용으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이전과 연계해 특화사업비로 146억원을 2006년부터 5년간 투입하게 된다.

또한 부산대 양산캠퍼스에 유치할 예정인 차세대 기계부품 클러스터 기술혁신센터와 과학기술인 지원센터 건립, 교육환경개선사업, 영어체험캠프 등 부수사업에 5년간 368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전액 시비로 충당되는 교육특구 지정 사업에 대해 시는 주요 투자 사업이 부산대 내 산학단지와 연계되어 진행될 뿐 아니라 기존에 시가 가지고 있는 문화체육센터 등 시설을 활용할 계획이어서 예산 확보에는 큰 차질이 없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또한 공고문에서도 부동산 가격 향상 등 변동요인이 적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계획 중인 과학영재교육원과 같이 상위 학생들에게 교육 혜택이 돌아가는 제도는 결국 사회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교육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특구 신청 공고와 여론 수렴에 필요한 절차 동안 양산 교육 발전을 위한 획기적인 계기가 마련될 지 교육문제에 민감한 시민들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교육특구지정에 따른 시민공청회는 오는 24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될 예정이어서 교육문제에 관심이 많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의사가 개진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재경부의 지역특화사업은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 2005년 12월 현재 전국 기초자치단체 41곳이 특구로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  이 중 교육특구로 지정된 곳은 전남 순천, 인천 서구, 경기 군포, 경남 거창, 김해, 창녕 등 6곳이다.  올해 1월 현재 새롭게 특구 지정을 신청한 곳은 모두 12곳이며, 특구 신청을 위해 특구 계획을 공고한 곳은 모두 22곳에 이른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