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2006 전국동시지방선거] 웅상분동, 웅상발전 계기 되나..
사회

[2006 전국동시지방선거] 웅상분동, 웅상발전 계기 되나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03 00:00 수정 2006.03.03 00:00
웅상 발전의 청사진, 정책적 대안 제시

웅상은 양산의 소외지역이라는 주민들의 불만이 팽배한 가운데 최근 ‘웅상분동’을 둘러싸고 주민들간 갈등 양상이 재현되고 있다. 특히 웅상분동 문제가 웅상발전에 대한 각기 다른 전망에서 시작되어 본질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웅상분동이 쟁점화될 경우 또 다른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결국 당선자들은 지역 주민들간 갈등을 해소하고 웅상발전의 청사진을 제시해야 하는 책임을 지는 일꾼이어야 한다는 여론이다.

중대선거구제로 전환되면서 거대 읍인 웅상 지역은 기존 2명의 시의원에서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하게 된다.

매번 지방선거마다 난립하는 후보군에 비해 낮은 투표율은 유입인구가 대다수인 웅상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난 해 웅상 주민간 대립과 갈등을 일으켰던 ‘웅상 분동’ 문제가 해를 넘긴 채 해결점을 찾지 못해 선거기간 동안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웅상 분동 문제가 결국 양산지역에서 상대적 소외감을 경험해온 웅상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이다.  다만 웅상 발전에 대한 상이한 진단에 따른 갈등으로 볼 때 분동까지 포함한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후보에게 유권자들의 표심이 기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열악한 도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 제시가 절대적이다.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웅상은 도로 및 교통환경이 어느 지역보다 열악하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산, 울산에 가까워 양산시민이라는 인식이 옅어 낮은 투표율을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군 가운데 웅상주민들의 마음을 열고 지역에 관심을 기울이게 만들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웅상이 새로운 도심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일에 필수요소라는 지적이다.

지역에 대한 애정없이 발전을 논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계속 반복되어온 조직선거에 대한 시민들의 무관심은 낮은 투표율과 지역적 이슈에 대한 무반응으로 나타나고 있다.

5.31 지방선거에서 중대선거구제의 도입으로 웅상지역 전체 의원정수가 1명 늘어나면서 후보군의 난립은 각 당의 공천작업이 완료된 이후 무소속 출마자의 여부에 따라 출마자 수가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광역행정구역 개편 논의로 ‘웅상독립’이라는 화두가 던져진 가운데 웅상주민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6월 27일 실시된 양산군의회 의원선거에서 웅상읍 지역은 3명의 군의원을 선출했다.
김용발, 이부건, 장기성, 김진만, 박일배, 김택상, 박영배 후보 등 7명의 후보가 출마해 각축을 벌인 가운데 김진만 후보가 19.2%, 이부건 후보가 17.8%, 장기성 후보가 16.7%의 지지를 각각 얻어 당선됐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산군의회 의원선거는 전체 3만1,364명의 선거인단 가운데 2만77명이 투표해 64%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69.6%를 기록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산군 투표율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6월4일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양산군이 시로 승격되어 처음으로 군의원이 아닌 시의원을 뽑게 됐다. 웅상읍지역은 김용발, 장기성, 이부건, 박일배 후보 등 4명이 출마해 31.4%의 지지를 받은 박일배 후보가 당시 웅상읍지역 현역 군의원이었던 장기성, 이부건 후보를 따돌리고 시의원에 당선됐다.

웅상읍 시의원 선거는 전체 3만4,297명의 선거인단 가운데 1만6,838명이 투표에 참여해 49.1%의 투표율을 기록, 55%의 투표율을 기록한 양산시 투표율에 비해 저조한 투표율을 보였다.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6월 13일 치러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웅상읍지역 시의원 선거는 제1선거구와 제2선거구로 나뉘어 치러졌다. 제1선거구에는 이부건 후보가 단독 출마해 무투표 당선됐다. 제2선거구는 당시 현역 시의원이었던 박일배 후보를 비롯해 김용발, 김택상 후보 등 3명이 출마해 66.3%의 지지를 받은 박일배 후보가 많은 표 차이로 두 후보를 따돌리고 재선에 성공했다.      

웅상읍 제2선거구는 2만3,824명의 전체 투표인단 가운데 9,383명만이 투표에 참가해 39.4%라는 저조한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51.2%로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운데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던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산시 투표율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역대 지방선거 의원정수 변화

1991년 3월 26일 치러진 기초의원선거에서 양산군은 14명의 군의원을 선출했다.
하지만 1995년 3월1일부로 동부 5개 읍면이 부산광역시로 편입됨에 따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양산군의회 의원선거는 7개 선거구에 의원정수는 12명으로 줄었다.

1998년 4월 30일 법률 제5537호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 의거 읍·면·동에서 1인씩 선출함에 따라 1998년 6월4일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양산시의회 의원선거는 7개 선거구에 의원정수는 7명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2002년 6월 13일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웅상읍과 물금읍이 각각 2개 선거구로 분할됨에 따라 양산시의회의원 선거는 11개 선거구에 의원정수는 11명으로 늘어 제2대 양산시의회 선거보다는 4석이 늘어났다.   
                                             

선거보도팀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