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 내부 심의 - 시, 사업과정 감사 진행 / 표절에서 시 재산권 무단도용으로 논란 확대
용역보고서 표절 논란에 휩싸인 한나라당 시장예비후보 윤장우씨의 박사학위 논문에 대한 진상규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월 28일 발족한 양산민중연대(상임대표 이정열)가 시와 동아대를 상대로 발표한 성명서 이후 동아대와 시는 각각 학위논문 표절 여부와 시 재산권 도용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지 122호, 2006년 3월 3일자 보도>보도 이후 동아대 관계자는 시를 방문해 논문이 표절됐다고 의혹을 받고 있는 용역보고서와 관련 사업에 대한 내용을 시로부터 확인하고 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동아대 대학원 하종률 원장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용역보고서와 박사학위 논문에 대한 검토가 해당 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민중연대가 요구한 손해배상 청구와 관련해 자문변호사를 통해 법률적 검토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예산을 들여 만든 연구용역보고서가 저작물로 보호받을 수 있는지 여부와 손해배상청구가 법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중이다.
또한 시는 집행된 용역 결과에 따른 이후 사업 실적에 관련된 사항도 조사 중이다. 문제의 용역보고서는 시가 지난 1999년 <양산시 색채환경 및 지붕형태 제시>라는 학술연구용역을 한국건축학회와 수의계약을 하고 6천4백40만원의 예산을 들여 1년간 양산지역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추진된 것이다. 당시 용역 연구책임 교수였던 동아대 박춘근 교수는 윤씨의 지도교수로, 연구총괄을 맡았던 경성대 김민수 교수와 2001년 윤씨의 논문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한편 민중연대는 시 예산으로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에 인용표기 없이 순수연구업적인 것처럼 기재한 것은 시장후보로서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민중연대가 이를 문제 삼아 시에 손해배상청구를 요구함으로써 표절 논란에 이어 시 재산권 도용 문제로 후보자의 도덕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