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스쿨존 기획기사③ 행정당국 책임 있는 관리감독 절실..
사회

스쿨존 기획기사③ 행정당국 책임 있는 관리감독 절실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10 00:00 수정 2006.03.10 00:00

'대운초 스쿨존'
거대한 주ㆍ정차장으로 둔갑
행정당국 관리감독 소홀문제

지난 6일 경남 거제 신현초등학교 앞에서 11살 여자 초등학생이 여동생과 등교하다 15톤 트럭에 치여 그 자리에서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고가 발생한 곳은 다름 아닌 스쿨존.

스쿨존으로 지정되어 스쿨존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지만 제 구실을 못하는 무늬만 스쿨존인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다.

작년 9월에 웅상읍 삼호리에 개교한 대운초등학교.

스쿨존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주변에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라 대형차량들이 수시로 학교주변을 통행하고 있다. 등ㆍ하교시간만이라도 운행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학교주변에는 덤프트럭은 물론 주차된 승용차가 가득하다. 엄연한 불법주차다. 하지만 관리감독을 펼쳐야 하는 행정당국의 손길은 아득하기만 하다.

아이들의 등교시간에 맞춰 오전 8시부터 40분간 교통지도활동을 벌이는 대운초등학교 녹색어머니회 학부모들은 "혹시 아이들이 다칠까봐 걱정이에요. 등교시간만이라도 덤프트럭의 통행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네요. 또한 학부모들이나 학원차량들도 학생들의 통행이 잦은 곳에서 승ㆍ하차를 하는 것도 많은 문제"라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대운초 옥영석 교감도 불안감을 표시하기는 마찬가지.
"등교시간마다 학교주변 4군데에서 녹색어머니회원들이 교통지도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830여명의 전교생이 무사히 교실에 앉기 전까지는 항상 긴장상태다. 스쿨존 시설물이라도 하루빨리 설치되었으면 하지만 행정절차가 그리 간단하지 않아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현재 스쿨존은 학교장이 교육청을 통해 경찰서에 스쿨존 지정을 요청하면 경찰서장이 지정, 스쿨존 시설물을 시예산을 들여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문제는 여러 유관기관들이 얽혀 있어 시설물이 설치되기까지 행정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

스쿨존 지정이 되더라도 시설물설치에 책정된 예산이 한정되어있다는 이유로 시설물은 언제 설치될지도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사이 가장 안전한 곳이 되어야 할 학교주변이 안전사각지대로 탈바꿈되어 어린이들의 안전은 외면받기 일쑤다.

제2의 거제 신현초등학교 교통사고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 행정당국의 책임 있는 관리ㆍ감독이 절실한 상태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