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처음 실시되는 지방의원 유급제에 따라 양산에서도 시민들이 직접 시의원의 월급을 결정하게 됐다. 지난 15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열린 '의정비심의위원회(이하 위원회)' 첫 회의에서 각 위원들에게 오근섭 시장이 위촉장을 수여하고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됐다. 이번에 위원으로 위촉된 인사는 강덕구(43ㆍ양산대학 교수), 박기득(35ㆍ변호사), 이종관(73ㆍ문화원장), 정해도(55ㆍ장애인협회 양산지회장), 김경곤(62ㆍ양산시새마을회 회장), 하강헌(43ㆍ영산대 교수), 김석호(51ㆍ경남신문 기자), 서영옥(50ㆍ화인테크놀리지 대표이사), 박종건(57ㆍ의사), 정순덕(56ㆍ여성단체협의회 총무) 등 10명으로 학계, 문화계, 언론계, 경제계 등 지역 내 각계를 대표하는 단체들로부터 추천을 받아 선정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종관 문화원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하였으며, 이종관 위원장은 "한 배를 탄만큼 성실히 활동에 임해 시민들의 혈세를 값있는 곳에 쓸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 위원회는 시로부터 의정활동비, 여비, 월정수당액 등 지급 규정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아 시 재정규모를 고려한 적정금액을 월정수당으로 결정하게 된다. 위원회 운영은 일반적 사항인 경우 과반수 이상 참석위원의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결정하고, 지급수준에 대해서만 재적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위원회에서 결정한 사항은 홈페이지나 기타 방법으로 즉시 시민들에게 공개하게 된다. 위원회가 최종적으로 지급수준을 결정하게 되면 시는 <의정비활동비 등 지급에 관한 조례>를 개정하여 시의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국 시장ㆍ군수ㆍ구청장협의회에서는 시의원들의 급여수준을 과장급인 3천7백만원에서 4천2백만원 사이에서 결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4일 경남 시ㆍ군의회 의장협의회 정례회에서 시의원들의 급여수준을 부단체장급인 6천만원에서 7천만원 사이에서 결정해 줄 것을 전국 의장협의회와 행정자치부에 건의키로 해 향후 위원회의 최종 결정이 주목되고 있다. 유급제를 놓고 시민들의 찬ㆍ반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자질논란의 대상이었던 시의회가 전문성을 갖추고 시정의 감시ㆍ견제하는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는 일에 기여를 할 지 여부는 결국 이번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정확한 선택을 하는 일에서 시작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