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모두를 위한 교육을 위하여..
사회

모두를 위한 교육을 위하여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17 00:00 수정 2006.03.17 00:00

요즘, 교육에 대한 말 중 가장 많이 듣는 말이 ‘교육 양극화’라는 말이다.

교육 문제를 이보다 더 간명하게 정의하는 말도 없을 것 같다. 이 말을 소박하게 이해하면 교육이 문제가 있는데, 그 문제는 공부를 잘 하는 아이들과 못 하는 아이들의 차이가 극단적으로 벌어져 있어 문제가 있다는 뜻일 것이다. 그래서 이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은 교육을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쪽에서 마련하고 있기도 하지만, 지역별로 자치 단체가 주도적으로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하려고 하는 것이 눈에 띈다.

그 방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고 있는데, 자치단체가 마련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교육 현장에 가시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부분에 상당히 많은 예산을 지원하려고 하거나 학력 향상을 위해 공부 잘 하는 아이들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인책을 쓰려고 하는 것이다. 또, 교육 특구로 지정받아 교육인프라를 구축하면 지역의 교육 수준이 향상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자치 단체가 지역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면서 매우 반길 만한 일일뿐만 아니라 다행스럽기까지 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니 걱정되는 일이 여기 저기 엿보인다.  며칠 전, 지역에서 오랫동안 과학교사로 근무한 선배 선생님과 만나 이런 문제를 두고 얘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과학교사로서 지역에 과학영재교육원을 만든다는 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더니, 과학 교육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방법이 될 수 있다면서 긍정적이겠다는 말을 들었다.

그래서 이런 반론을 해보았다. 현재 과학고의 경우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대학입시에 불리하다는 이유로 본래의 교육목적과는 다르게 흘러가는 문제가 있고, 교육청 주도로 이루어지는 영재교육도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수도 있지 않느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렇게 되자 처음에는 가볍게 시작한 대화가 심각한 토론과 논쟁으로 변했다. 천재적 소수를 기르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과 모두를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는 공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주장으로 한동안 논쟁을  했다. 자치 단체가 교육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려고 내놓는 방안을 살펴보면 경제성이나 효율성을 따져 단순한 계산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얼마를 투자하면 얼마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단순 계산법은 산수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교육이란 많은 변수가 작용하는 일이라 오늘 당장 얼마를 투자했다고 해서 금방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모르는 것도 아니면서 금방이라도 어떤 효과가 나타나기를 바란다는 것은 교육의 본질을 모르는 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창조적 소수를 위한 교육보다 모두를 위한 교육이 앞서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모두를 위한 교육은 교육의 기회를 공평하게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교육특구가  학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라면 교육이란 우수한 사람들만 받을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럴 바에야 차라리 지역에 커다란 도서관을 짓고, 각 학교에 사서교사, 상담교사, 보건교사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말 교육인프라 구축이 아닌가 하는 어리석은 생각을 해본다.

유병준 교사 (남부고등학교)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